러트닉 상무장관이 주도권
백악관 “창의적인 아이디어”
대통령실은 “금시초문” 밝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자국 반도체 기업 인텔에 이어 삼성전자 등의 지분 확보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미국 정부가 반도체지원법(CHIP Act)에 따른 보조금을 제공했으니, 그 대가로 기업 지분을 인수하겠다는 것이다.

로이터통신은 익명의 취재원 2명의 말을 인용해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반도체지원법에 따른 지원을 받아 미국에 공장을 짓는 반도체 제조기업들의 지분을 미국 정부가 받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대만 TSMC, 미국 마이크론, 한국 삼성전자가 이런 기업에 해당한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말기인 지난해 말 미국 상무부가 확정한 기업별 반도체지원법 지원금 액수는 TSMC 66억달러(약 9조2000억원), 마이크론 62억달러(8조6000억원), 삼성전자 47억5000만달러(6조6000억원)다.
이런 계획은 주무 장관인 러트닉 상무장관이 주도하고, 트럼프 대통령도 마음에 들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는 미국 정부가 자국 기업인 인텔에 지원금을 주는 대가로 인텔 지분 10%를 받으려는 계획을 확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인텔 지분 확보 시도와 관련해 “바이든 행정부 시절 보조금이었던 것을 트럼프 행정부와 국민을 위한 자본으로 전환하는 것일 뿐”이라며 “왜 정부가 1조달러 가치 기업인 TSMC 같은 회사에 자금을 지원해야 하냐”고 말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에서 공장을 짓지 않으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하면, 기업들이 몰려올 것”이라며 인텔 이외의 다른 반도체지원법 수혜 기업과도 유사한 거래를 모색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다만 지분 인수가 기업 경영에 개입하려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인텔과의 지분 거래 방식이 다른 반도체 기업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있냐는 질문에 “중요한 공급망을 확보하는 동시에 납세자들에게 실질적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전례 없는 창의적 아이디어”라고 답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0일 기자간담회에서 로이터 보도에 대한 질문을 받고 “금시초문”이라고 밝혔다. 이 문제가 25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될 수 있냐는 질문에 “정상회담 의제와 상관없다”면서 “개별 기업에도 탐문해봤지만 전혀 알지 못했다”고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