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보도문 ‘北 위협’ 표현 빠져
이재명정부 ‘대북유화책’ 분석
한·미 연합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습이 18∼28일 진행된다고 합참과 한미연합사령부가 7일 밝혔다. 지난해와 달리 한·미 공동보도문에 북한 위협 관련 표현이 없고, 일부 야외기동훈련이 연기됐다. 군 당국은 폭염 등을 연기 사유로 들었지만, 북한과의 관계 개선에 나선 이재명정부의 대북 유화책의 연장선상으로 풀이된다.

합참과 한미연합사는 이날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공동기자회견에서 한국군 참가 인원은 지난해와 동일한 1만8000명이며, 미군도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로 참가한다고 밝혔다. UFS 연습은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지휘소연습(CPX)과 야외기동훈련(FTX)으로 구성되는데, 40여건의 FTX 중 20여건이 다음달로 연기된다. 야외기동훈련과 미군 인원·장비가 전개되는 훈련은 정상 시행하고, 대대급 이하 규모로 이뤄지는 훈련 등은 다음달에 실시될 예정이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최근 “8월 합동훈련이 (이재명정부 대북 정책의) 가늠자가 되지 않을까”라며 UFS 조정을 시사했다.
통일부 고위 당국자는 일부 훈련 연기가 통일부의 건의에 따른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조정된 것”이라며 “한·미 훈련도 한반도 긴장 완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UFS 연습 공동발표문에선 지난해와 달리 북한이 거론되지 않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