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우리땅,우리생물] 나팔고둥이 특별한 이유

관련이슈 우리 땅, 우리 생물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5-08-07 22:54:28 수정 : 2025-08-07 22:54:2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어린 시절, 경복궁에서 대취타를 연주하며 행진하는 전통 군악대를 본 적이 있다. 뿌웅~ 뿌웅~ 행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우렁찬 중저음의 소리가 울려 퍼졌다. 전통 군악대의 악기 중 하나인 ‘나각(螺角)’의 소리였다. 커다란 고둥껍데기에서 나오는 웅장한 소리는 어린 나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나각은 실제로 ‘나팔고둥’(Charonia lampas)이라는 고둥의 껍데기를 가공해 만든 것이다. 나팔고둥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고둥류 중 가장 큰 종으로 길이가 최대 40㎝에 이른다. 나선형으로 단단하게 말린 껍데기를 가지고 있으며, 입구는 넓고 가장자리는 두꺼워 울림통 역할을 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 덕분에 예로부터 나각의 재료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외국산 고둥류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이 종은 인도·서태평양, 대서양 등지에 널리 분포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남해안 바닷속 바위 지대에 제한적으로 서식하며 개체 수가 매우 드문 편이다. 나팔고둥은 그 아름다운 껍데기와 풍부한 육질로 인해 과거 관상용이나 식용으로 많이 채취되었다. 이로 인해 서식 밀도가 크게 감소해 환경부는 나팔고둥을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해 특별히 보호하고 있다.

보호의 필요성은 단지 희소성 때문만은 아니다. 나팔고둥은 불가사리나 소형 연체동물을 섭식하는 포식자로, 바다 생태계의 균형 유지에 기여한다. 또한 나팔고둥은 인류 문화사적 가치도 있다. 예컨대 1931년 프랑스 피레네산맥의 마르술라스(Marsoulas) 동굴에서 구석기시대 후기 즉 지금으로부터 1만8000년 전 마들렌(Magdalenian) 문화기에 사용된 나팔고둥이 출토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생태적, 문화적으로 의미 있는 종을 보호하는 일은 생태계의 건강한 기능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뿐 아니라, 우리 고유의 생물자원을 확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생물주권’을 지키는 일과도 깊이 연관된다. 나팔고둥이 미래 세대에게도 실체 있는 생물로 남을 수 있도록, 학술적 모니터링과 서식지 보전, 사회적 인식 제고가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박태서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