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KT&G 주주환원율 2024년 1위 [경제 레이더]

입력 : 2025-08-07 05:00:00 수정 : 2025-08-06 20:08:56
박미영 기자 mypark@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최근 국내 기업들의 주주환원 정책이 확대되는 가운데, 지난해 국내 100대 기업 중 주주환원율이 가장 높은 곳은 KT&G로 나타났다.

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 6월30일 기준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의 지난해 주주환원 총액은 45조5784억원으로 2022년(33조7240억원) 대비 11조8544억원(35.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같은 기간 100대 기업의 시가총액은 1405조4819억원에서 1664조9773억원으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시총 대비 주주환원 총액의 비율은 2.4%에서 2.7%로 0.3%포인트 상승했다. 기업들의 주주환원 확대는 코리아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와 지난해부터 시행된 기업가치 제고 방안인 ‘코리아 밸류업 프로그램’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주주환원 총액 중 배당 총액은 31조8891억원에서 37조3201억원으로 5조4310억원(17.0%) 늘었지만, 자사주 소각이 크게 증가하면서 배당 비중은 94.6%에서 81.9%로 낮아졌다.

지난해 시가총액 대비 주주환원총액 비중이 가장 높은 기업은 10.0%로 유일하게 두자릿수를 기록한 KT&G였다. 이어 키움증권(9.1%), 우리금융지주(9.0%), 삼성증권(8.0%), SK텔레콤(8.0%), NH투자증권(7.9%), 하나금융지주(7.8%), 기업은행(7.4%), 기아(7.3%), 삼성물산(7.3%) 순이었다. 상위 10곳 중 6곳이 금융사였다.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 LG에너지솔루션, 두산에너빌리티, 알테오젠, 삼성중공업, 카카오페이,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SK바이오팜, HLB, 레인보우로보틱스, 휴젤, LG디스플레이, 펩트론, 리가켐바이오, SKC 등 17곳은 주주환원을 전혀 하지 않았다.


박미영 기자 mypar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