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는 3일 도내 일부 지역 정전을 계기로 유사 시 재난안전문자 발송 기준을 별도로 마련하는 등 신속한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제주도는 전날 도 유관부서(에너지산업과·사회재난과·자연재난과), 한국전력공사 제주본부와 함께 정전 대응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정전 발생 시 관계기관 간 정보 공유 및 협조체계 강화, 도민 안내체계 보완 등을 중심으로 논의했다.

여름철 집중호우와 태풍, 전력기기 사용량 증가 등으로 정전 위험이 커지는 시기를 앞두고 기관 간 소통 체계 정비 필요성이 강조됐다.
도는 유관기관 간 실시간 상황 공유 체계를 구축하고 정전 안내 문자 표준안과 발송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행정안전부 기준(공급하지 못한 전력량 120㎿ 이상) 이하의 정전이 발생할 경우에도 별도 발송기준을 마련해 도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할 예정이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정전은 일상생활의 불편을 넘어 기반시설 기능 중단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위험”이라며 “관련 부서 및 기관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대응체계를 지속해서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3일 오후 9시38분쯤부터 46분까지 제주시 일도동과 이도동·오라동·아라동 등 3만1347가구에 전력 공급이 끊겨 주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