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소비를 결정하는 '미닝아웃'(Meaning Out·가치소비)이 Z세대(1997년 이후 출생)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실천하는 기업 제품은 비싸더라도 구매를 하는 반면 사회적으로 문제가 있는 기업은 ‘보이콧’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미래세대 3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ESG 경영과 소비 트렌드 인식 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조사에 응답한 350명은 만 17~28세인 Z세대다.
이번 조사에서 ‘조금 비싸더라도 ESG를 실천하는 기업 제품을 구매하겠다’는 Z세대 응답이 66.9%에 달했다. 기업의 ESG 실천이 브랜드 선택과 제품구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사회적 물의가 있거나 문제가 있는 기업 제품은 '보이콧'하는 단호한 모습도 보였다.
Z세대 10명 중 6명 이상은 '기업의 비윤리적 행위나 ESG 관련 부정적 이슈로 구매를 중단한 경험이 있다'(63.7%)고 답했다.
이 같은 조사 결과의 배경에는 Z세대만의 소비 가치관이 자리하고 있다는 게 대한상의의 분석이다.
이들이 선택한 소비 키워드는 절약을 중시하는 '짠테크'(32.9%), 자신의 신념을 소비로 증명하는 '미닝아웃'(26.5%), '아보하'(23.3%) 등이었다.
아보하는 '아주 보통의 하루'의 줄임말로 평범한 일상에서 소소한 만족과 행복을 찾는 라이프스타일 및 소비를 뜻한다.
Z세대들은 기업 ESG 활동의 진정성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다. '그린워싱'(위장 환경주의) 문제에 대해 응답자의 65.4%는 우려를 나타냈다.
ESG 활동을 진정성 없이 단순 홍보 수단으로 이용하는 기업은 청년 소비자의 외면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기업의 ESG 경영 여부는 청년층의 진로 선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조사 대상 중 절반 이상(54.2%)은 '취업이나 이직 시, 지원기업의 ESG 경영 수준을 확인하거나 입사 여부 결정 시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미래 국가 경제의 주축이 되는 Z세대에게 지속가능경영에 소극적인 기업은 외면받을 수 있기에 진정성 있는 ESG 경영 실천이 중요하다"며 "청년들의 목소리를 반영해 상의도 신기업가 정신 확산과 사회적 가치 페스타 등 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Z세대는 직장에서 연애, 가족 등 개인적인 질문에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에 따르면, Z세대 구직자 1733명을 대상으로 ‘상사와의 식사 자리에서 가장 피하고 싶은 상황’에 관해 묻자 ‘개인사를 묻는 상사’가 50%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아무 말도 하지 않는 상사’(26%)와 ‘계속 일 얘기만 하는 상사’(24%)가 비슷한 비중을 차지했다.
상사가 연애나 가족 등 개인적인 이야기를 물어봤을 때 느끼는 감정을 묻자 무려 69%가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괜찮다’는 응답은 18%에 불과했고, 13%는 ‘잘 모르겠다’고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