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과 캄보디아 간 무력 충돌로 이틀 동안 사망자 수가 32명까지 늘었다. 양국은 사태가 더 커지기 전에 휴전하자는 데에 원칙적 동의를 한 것으로 파악되나, 즉각 휴전을 요구한 캄보디아측과 ‘태국이 먼저 군사행동을 중단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태국측의 입장차도 확인된다.
26일(현지시간) AP·AFP 통신에 따르면 말리 소찌어따 캄보디아 국방부 대변인은 지난 24일 교전 발발 이후 자국에서 민간인 8명·군인 5명 등 총 13명이 숨졌다고 이날 밝혔다. 태국에서도 19명이 숨져 양국 총사망자는 32명으로 집계됐다.

이후 교전 재개 소식은 들리지 않는 상황이며, 캄보디아는 양국이 속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등의 중재 움직임에 적극 반응했다.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가 건넨 휴전 제안에 자신은 동의했으며, 태국 측도 동의한 것으로 안와르 총리에게 들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불과 한 시간 남짓 후 캄보디아 총리는 태국 측이 입장을 번복했다면서 유감을 표명했다.
안와르 총리는 태국과 캄보디아가 휴전하고 국경에서 군대를 철수하는 데 합의했지만, 조치를 시행하기 전에 더 많은 시간을 요청했다고 말레이시아 관영 베르나마 통신에 밝혔다.
찌어 깨오 캄보디아 유엔 대사는 이날 새벽(미국 동부시간 25일 오후) 뉴욕에서 비공개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가 끝난 뒤 "조건 없고 즉각적인 휴전을 요청했다"면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에 니꼰뎃 발란꾸라 태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오후부터 교전이 진정되기 시작했다면서 태국은 말레이시아의 지원을 받는 협상에 열려 있다고 말했다.
태국 측은 휴전 구상에 원칙적으로 동의하고 이를 검토하겠지만, 휴전은 "적절한 현장 상황"에 기반해야 한다고 밝혔다.
러스 잘리찬드라 태국 외교부 차관은 태국이 먼저 군사행동을 중단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캄보디아가 적대 행위를 중단해야만 휴전 제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에 말했다.
이날 안보리 회의에서는 15개 이사국 모두가 양국에 긴장 완화, 자제, 평화적 분쟁 해결을 촉구했다고 한 외교관이 AP에 전했다. 유엔에 따르면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양국에 자제를 촉구하고 대화를 통해 분쟁을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전날 태국 군 당국은 캄보디아와 인접한 태국 중부 찬타부리주·뜨랏주의8개 지역에서 계엄령을 선포했다고 밝혔다. 찬타부리주와 뜨랏주는 캄보디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지만, 이번 전투가 벌어진 태국 동부의 수린주·시사껫주·우돈라차타니주와는 떨어져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