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외국인등록증 등

네이버나 카카오뱅크, 토스 등 민간 애플리케이션(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아 쓸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주민센터나 면허시험장 등에서 받은 실물 IC 신분증의 스마트폰 인식으로 발급·사용하는 모바일 신분증은 국가 신분증으로서 법적 효력을 갖는다.
23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모바일 신분증은 정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과 지난해 개방한 삼성월렛에서만 발급받아 쓸 수 있었으나, 이제 갤럭시에서는 KB스타뱅킹 앱, 네이버 앱, NH올원뱅크 앱, 토스 앱 그리고 카카오뱅크 앱에서 이용할 수 있다. 아이폰(IOS) 사용자는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과 토스 앱, 카카오뱅크 앱에서만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해 사용할 수 있다. IOS에서 KB스타뱅킹 앱과 네이버 앱, NH올원뱅크 앱은 추후 지원될 예정이다.
모바일 신분증의 종류는 주민등록증, 외국인등록증, 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 등이 있다.
갤럭시에서의 NH올원뱅크 앱을 예로 들면, 로그인 후 ‘금융편의’ 메뉴에서 모바일 신분증으로 이동한다. 본인인증과 약관동의, 실명 확인, 비밀번호 등록 그리고 마지막으로 실물 신분증을 인식하는 ‘모바일 신분증 등록’을 거치면 된다. 지난해 정부의 모집 공고로 선정된 참여 사업자들은 1년간 개발 지침 등에 따라 시스템을 구축했고 행안부의 적합성 평가를 통과했다.
모바일 신분증은 이용자의 단말기 보안 영역에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되며, 중앙 서버에는 별도로 저장되지 않아 데이터센터가 해킹되더라도 신분증 정보는 유출 없이 안전하게 보호된다. 단말기를 분실해도 생체인증(지문, 안면인식 등) 또는 6자리 앱 비밀번호 없이는 사용이 불가해 실물 신분증보다 도용의 우려가 적다. 도난이나 분실 시에는 모바일 신분증 콜센터나 각 통신사의 콜센터로 신고해 스마트폰에 발급된 모든 모바일 신분증이 중단되게 할 수 있다.
행안부는 금융위원회와 함께 모바일 신분증을 적극 확대해 국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앞으로도 보안성이 충분히 검증된 민간 기업 앱 등을 활용하여 AI시대에 필요한 안전한 디지털 신분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