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원이 지난 50여년간 이어온 대북 방송을 새 정부 출범 한 달여만에 전면 중단한 데는 작년 초 북한의 대남 방송 전면 중단이 중요하게 고려됐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사안에 정통한 대북 소식통은 22일 국정원의 대북 라디오·TV 송출 중단의 이유에 관해 "정부가 북한의 대남 방송 운영 중단에 대응해 대북 방송을 중단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정부는 극심한 체제 대결 시대를 종식해야 한다는 판단 아래"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북한은 2023년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로 선언한 뒤 통일·동족 개념을 사회 전반에서 지웠다. 그 일환으로 대남 부서를 정리하고 대남 방송과 각종 선전매체 운영도 중단됐다.
북한은 작년 1월 '통일의 메아리' 6개 주파수(FM 3개, 단파 3개), '평양방송' 7개 주파수(FM 3개, AM 2개, 단파 2개) 및 '평양FM' 1개 주파수 등 대남 방송 송출을 중단했다.
또 대남 심리전 차원에서 운영해 온 '우리민족끼리'와 '려명' 등 선전매체 웹사이트 9개와 해외 소셜미디어 계정도 모두 폐쇄했다.
북한의 이런 조치에 대응해 국정원도 대북 방송을 중단했다는 게 이 소식통의 주장이다.
이달 들어 국정원이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민의 소리, 희망의 메아리, 자유FM, 케이뉴스, 자유코리아방송 등 대북 라디오 방송과 대북 TV 방송 송출이 순차적으로 중단됐다.
이에 따라 남북이 서로를 겨냥한 선전 방송은 대부분 중단됐다. KBS와 군의 대북 방송이 남아 있긴 하지만 국정원과는 차이가 있고 향후 중단 가능성도 거론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