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인력 과학 추계 시행 의지도
“전공의 특혜, 국민 눈높이 맞출 것”

이재명정부 초대 보건복지부 수장이 된 정은경(사진) 장관이 “국민 중심 의료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의사 출신’ 정 장관이 공식 취임하면서 의·정 갈등 해소를 위한 대화 움직임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정 장관은 22일 취임사에서 “국민 중심 보건의료체계를 구축하겠다”며 “국민에게 필요한 진료를 적시에 제공하고, 보건의료체계의 지속가능성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를 도입해 적정 인력 규모에 대한 과학적인 추계를 시행하겠다. 지역·필수·공공 의료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충분한 보상도 하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빈틈없이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돌봄에 대한 국가책임 강화, 국민 중심 보건의료체계 구축, 미래 보건복지 강국 도약의 기반 마련 등 ‘4대 포부’를 밝혔다.
복지부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히는 의·정 갈등 해결을 위해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관련 논의를 할 수련협의체와 내후년 의대정원을 의논할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도 조만간 가동될 것으로 보인다.
정 장관은 취임식 후 기자들과 만나 사직 전공의 요구에 따른 특혜 논란에 대해 “따가운 지적이 있다는 건 잘 알고 있다”며 “일방적인 정책으로 시작된 일이라는 것도 감안해야 하고 2년 이상 의사 배출 공백이 생기면 국민 입장에서도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 국민 눈높이로 신속하게 정상화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19일 윤석열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재검토를 위한 현장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및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 기구 설치 등 3대 요구안을 내놨다.
대한의사협회는 정 장관 취임을 축하하며 “국민 건강을 위한 보건의료 정상화의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의대 학장 모임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전날과 이날 의대생 복귀방안을 논의했으나 본과 3학년 졸업 시기에 대해선 합의하지 못했다. 최종 방안은 이달 중 발표될 전망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