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관련
최종건 “직전 주최국 역할 다할 것”
캐나다 보이콧 합류… 日도 동참 기류
‘2024 하계올림픽’ 프랑스 불참 선언

통일부와 외교부가 다시 한 번 정부의 한반도 종전선언 추진에 힘을 실었다. 미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데 이어 그 우방국들도 가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종전선언과 올림픽이 불가분의 관계가 아니라고 강조하는 모양새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9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통일연구원 개원 3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축사를 통해 “북한은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대화에 열려있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장관은 “북한은 올해 단거리미사일을 수차례 발사했지만, 고강도 긴장을 조성하는 방향으로까지는 정세를 심하게 격화시키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 등을 예로 들었다.
그는 “이런 정세 속에서 종전선언이 성사된다면 새로운 평화 국면을 여는 확실한 터닝 포인트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북한 측이 전향적인 자세로 늦지 않게 호응해 남·북·미가 공존과 상생의 결과를 만들어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최종건 외교부 1차관도 “(우리 정부는) 직전 (올림픽) 주최국의 역할을 하려고 한다”며 미국과 그 우방국의 올림픽 보이콧 움직임에 선을 그었다. 최 차관은 “평창, (일본) 동경, (중국) 북경으로 이어지는 동북아 릴레이 올림픽이고 상당히 의미가 있다”면서도 “우리는 어떤 결정도 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의 호주 방문과 관련해서는 “우리는 그런 (중국 견제) 의도는 전혀 없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영국을 방문하면 중국 견제고, 미국을 방문하면 중국 견제냐. 우리의 필요에 따라 주요 파트너와 언제든 협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 정부 입장과는 달리 캐나다는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동참을 결정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8일(현지시간) “중국 정부의 반복되는 인권침해를 우려한다”고 말했다. 일본은 아직 유보적이지만 집권당인 자민당의 다카이치 사나에 정조회장은 “(외교적 보이콧에) 찬성한다. 확고한 자세를 일본이 재빨리 밝혀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2024 하계올림픽 개최국 프랑스는 외교적 보이콧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공식 선언했다. 중국 외교부 왕원빈 대변인은 9일 브리핑에서 외교적 보이콧 확산 가능성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국제사회 절대다수 국가가 올림픽의 성공 개최를 지지한다”고 답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