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중·고등학교 급식 조리실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사고가 매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의당 여영국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 급식실에서 2015∼2018년 총 2365건의 산재 사고가 발생했다.
급식실 산재 사고는 2015년 475건, 2016년 546건, 2017년 618건, 2018년 726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사고 유형 중에는 조리실에서 넘어져서 다친 사고가 4년간 678건(28.7%)으로 가장 많았고, 화상을 입는 등 이상 온도에 접촉한 사고가 649건(27.4%)으로 뒤를 이었다. 근골격계 등 질병을 얻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가 249건(10.5%), 절단·베임·찔림 등 날카로운 칼날 등에 다친 사고가 161건(6.8%), 물체에 맞아 다친 사고가 130건(5.5%)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보면 지난해 기준 학교급식인력당 산재 발생 건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시(1.84%)로 나타났다. 경기(1.69%)와 전북(1.49%), 제주(1.42%), 광주(1.24%) 등도 전국 평균(1.02%)보다 산재발생 비율이 높았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한 시·도 교육청은 전국 17곳 가운데 올해 9월 기준 서울·부산·대전·세종·강원·충북·전남 등 7곳에 그쳤다. 위원회 회의를 한 번이라도 개최한 적이 있는 교육청은 세종(2회)·충북(1회)·전남(1회) 3곳에 불과했다.
세종=이천종 기자 sky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