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평화로운 미래 내세우며 무장 정당화하려는 일본

입력 : 2019-05-11 03:03:00 수정 : 2019-05-10 21:12:5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오구마 에이지/조성은/돌베개/6만5000원

민주와 애국-전후 일본의 내셔널리즘과 공공성/오구마 에이지/조성은/돌베개/6만5000원

 

책 표지 사진을 보면 모자를 흔드는 노신사가 나온다. 끝이 보이지 않는 군중 앞에서 신사는 사뭇 자연스럽게 모자를 흔들며 인사를 건네고 있다. 1947년 12월 7일 원자폭탄으로 폐허가 된 도시 히로시마를 방문한 히로히토와 그를 환영한 일본 국민들이다.

패전 후에도 일본인들은 여전히 일왕의 신민이었다. 현대 일본과 전쟁이라는 ‘체제’가 얼마나 깊이 결합했는지 가장 잘 보여주는 인상적인 장면이다. 전후에도 ‘전시 일본’은 깊게 남아 있는 징표가 이 장면이다.

일본의 젊은 사회학자인 저자 오구마 에이지는 전후 일본의 다양한 목소리를 모아 현대 일본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이 책을 썼다. 지난 1일 일본에서는 30년간 재위했던 아키히토가 퇴위하고 나루히토가 새 왕에 즉위하면서, 연호도 헤이세이에서 레이와(令和)로 바뀌었다. 즉위식에서 아베 신조 총리는 “아름다운 평화를 뜻하는 새 연호 아래서 평화로운 미래를 만들겠다”고 말하면서도, 자위대의 무력행사를 정당화하는 헌법 개정을 추진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분명히 모순적인 발언이다.

저자는 자민당과 아베의 정치적 모순은 일종의 필연이라고 설명한다. 전후 일본의 보수세력의 태두인 요시다 시게루는 패전 직후 미국의 압력으로 전후 헌법에 비무장주의를 수용하면서 국민들에게 그 이상의 훌륭함을 적극 홍보했다. 하지만 요시다는 이미 그 당시부터 언젠가는 일본이 무장을 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다. 왜 그랬을까.

1945년 8월 15일 히로히토의 항복선언 후에도 일본인들은 전쟁이라는 체제 속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했다. ‘천황 만세’와 대동아공영권을 대신해 민주주의와 신헌법 만세를 외쳤지만, 일본은 여전히 전시의 그늘 아래 있었음을 요시다 시게루는 직감하고 있었다는 것. 전후 일본의 지배층과 국민은 민주주의와 신헌법 체계에 있었지만 그것을 실천한 방식은 여전히 군국주의적 사고의 틀에 묶여 있었다.

저자는 현대 일본을 대표하는 정치사상가인 마루야마 마사오, 오쓰카 히사오, 에토 준, 요시모토 다카아키, 쓰루미 슌스케 등이 활발했던 사상의 궤적을 탐구하면서, 현대 일본을 서술한다. 하지만 저자는 일본 국민들이 왜 전쟁의 트라우마를 극복하지 못하는지, 아니면 일부러 극복하지 않는지에 대해서는 모호한 입장을 드러낸다.

 

정승욱 선임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