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정은 제1위원장이 문 총재 유가족에게 보내온 조전. |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서기국도 조전을 통해 “우리는 문선명 선생이 민족의 대국상 때에 반통일 세력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조문사절들을 보내여 진정어린 위로를 표시해준 데 대하여 항상 잊지 않고 있습니다”라고 강조했다.
이들 두 조전이 거론한 ‘민족의 대국상’은 지난해 12월 김정일 국방위원장 서거를 의미한다. 당시 문 총재는 아들인 문형진 통일교 세계회장 일행을 보내 김 위원장의 장례에 참석하게 했다.

북한은 이들 단체를 포함, 정당·대남·대외·사회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단체 14곳의 명의로 유가족과 관련 기관에 조문을 보내왔다. 그 내용도 한결같이 세계평화와 남북통일을 향한 문 총재의 노력에 경의를 표하고 문 총재 성화를 애도하는 내용으로 채워졌다.
이처럼 북한의 각 단체들이 한꺼번에 ‘소나기’ 조전을 보내온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총 14개 조전 가운데 8개 조전은 북한 통일전선부의 대외 창구 역할을 하는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평화위)가 취합해 6일 팩시밀리로 평화자동차 측에 전달한 것이다.
![]() |
6일 오전 문선명 총재 빈소가 마련된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청심평화월드센터에서 참배객들이 헌화하고 있다. 김재원 스포츠월드 기자 |
나머지 조전을 보낸 기관은 아태평화위,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원회, 조선종교인협의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 세계평화센터관리소, 평화자동차총회사 등이다. 이 가운데 아태평화위는 문 총재의 막내아들인 문형진 세계회장 앞으로 조전을 보냈다. 문 총재 성화에 북한이 김 제1위원장의 조전을 포함해 모두 15개의 조전을 보내온 셈이다.
김민서 기자 spice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