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인플레 파이터’ 한은 총재 “기준금리 0.25%p씩 점진 인상이 적절”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2-08-01 17:00:00 수정 : 2022-08-01 17:47:47
유지혜 기자 keep@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현재 상황에서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점진적으로 올리면서 물가 상승세를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뜻을 밝혔다. 오는 25일 열리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도 ‘베이비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유력해지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 총재는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 회의에 출석해 “현재로써는 물가와 성장 흐름이 기존의 전망 경로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오는 9∼10월에 물가가 정점을 찍을 것이라는 당국의 예측을 벗어날 경우 또 한 번 ‘빅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의 여지도 남아있다. 이 총재는 “해외 요인에 큰 변동이 없다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를 넘어 2∼3개월 지속한 뒤 조금씩 안정될 것으로 보고, 이대로라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올릴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가가 예상을 벗어나면 정책 폭과 크기는 그때 가서 데이터를 보고 결정해야 할 것 같다”며 “이 경우 (빅스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자 부담 등 서민 고통을 키우는 기준금리 인상을 자제할 필요성이 있다는 국민의힘 김영선 의원의 지적에 이 총재는 “물가 오름세를 잡지 못하면 국민의 실질 소득이 더 떨어지고, 이를 향후 뒤집으려면 더 큰 비용이 수반된다”면서 “어두운 마음으로 금리를 통해서라도 물가 상승세를 꺾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물가 (상승률) 수준이 2∼3%면 국민이 물가 상승을 느끼지 못하고 경제활동을 하지만 6∼7%가 되면 (상승세가) 가속화된다”며 “안타깝지만 거시적 측면에서는 물가 오름세가 꺾일 때까지는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취약계층 문제는 경제부총리께서 말씀하신 대로 재정을 통해 선별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현 상황이 스태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동반한 경기 침체)이라고 보기엔 아직 이르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은이) 2분기 성장률이 0.3% 정도로 전망했지만, 실제로는 소비가 많이 늘어 0.7%를 기록했다”며 “아직까지 국내 경기는 크게 나빠지지 않은 상황으로, 내년 성장률이 2%보다 낮을 가능성은 지켜보고 있어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지금 확답하기는 이르다. 10월쯤 해외 자료를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했다.

 

한은은 올 하반기 성장 둔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도, 여전히 경기보다 물가의 위험이 더 크다고 판단했다. 한은은 기재위에 제출한 업무현황 보고서에서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월 전망 수준(4.5%)을 상당 폭 상회하고, 올해 경제성장률은 전망 수준(2.7%)을 소폭 하회할 것”이라면서 “물가와 성장에 대한 우려가 동시에 커졌지만 현시점에서는 물가 리스크(위험)가 더 크다”고 했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불안으로 2차 효과가 증폭되면서 고물가가 고착될 경우 경제 전반에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달 27일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하면서 미국의 기준금리(2.25∼2.50%)가 한국(2.25%)보다 높아진 역전 현상에도 외국인 투자자금이 대규모로 유출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외국인 증권자금은 내외 금리차뿐 아니라 국내외 경제 여건 등 복합적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제 과거 세 차례 금리 역전기에는 대체로 순유입됐다”면서 “외국인 주식 포트폴리오 조정이 상당 부분 진행된 점, 신용등급 대비 국내 채권 수익률이 양호한 점도 자금 유출 압력을 완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