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한·일, ‘체르노빌’급 사고 정보 실시간 공유해야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11-04-12 21:16:52 수정 : 2011-04-12 21:16:52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일본 원자력안전보안원이 어제 후쿠시마 원전의 사고 등급을 기존 5에서 최악인 7등급으로 상향 조정했다. 국제원전사고등급 가운데 가장 심각한 ‘대형 사고’로, 계획적이고 장기적인 대응 조치가 요구되는 등급이다. 지금까지 이런 등급은 사상 최악의 원전 사고로 기록된 옛 소련의 1986년 체르노빌 사고가 유일했다. 사고 당사국인 일본만이 아니라 지리적으로 인접한 한국도 제2의 체르노빌 사태에 직면한 셈이다.

체르노빌 사태는 원자로 폭발로 방출된 다량의 방사성물질이 수많은 목숨을 앗아간 대참사였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이 작성한 ‘체르노빌 포럼’ 보고서는 사고로 인한 직접 사망자는 56명, 방사능 피폭에 따른 암 발생 사망자는 4000명인 것으로 추산했지만 피해 추정치는 기구마다 다르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러시아 3국에서만 20만명이 사망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서유럽 등지에서도 적잖은 피해가 발생했으나 IAEA 집계에는 빠져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후폭풍을 현 시점에서 가늠하기는 힘들다. 일본 원자력안전보안원은 방사성물질 유출량이 체르노빌의 10% 정도 수준이라고 했다.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체르노빌 원전은 원자로를 1기만 보유했고 사태도 2주 만에 끝났다.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한 달 넘게 계속되는 데다 4기의 원자로 손상 정도 역시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피해를 최소화할 비상한 대처가 요구된다. 무엇보다 일 당국의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 공개와 공유가 급선무다. 특히 지리적 조건으로 미루어 한국은 사고와 관련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야 마땅하다는 점을 일본 정부는 명심해야 한다. 실시간 정보 공유를 위해 일본은 소극적·폐쇄적 관행을 과감히 벗어던져야 한다. 오늘까지 이틀 일정으로 도쿄에서 열리는 한·일 원전 전문가협의에서부터 사태에 걸맞은 모습을 보여주기 바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다미 '완벽한 비율'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