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 ‘내 집 마련’ 14년 치 연봉 전부 모아야 가능하다

입력 : 2025-11-17 06:00:00 수정 : 2025-11-16 22:46:23
유지혜 기자 keep@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토부 2024년 주거실태조사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 PIR
서울 13.9배… 전년보다 0.9 늘어
수도권 8.7배… 세종 8.2배로 높아
독립 후 생애 첫 집은 7.9년 걸려
서울 청약 경쟁률 非서울의 32배

서울에서 내 집을 마련하려면 약 14년간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기준으로는 8년8개월가량의 급여를 고스란히 모아야 집을 살 수 있었다. 서울의 청약 경쟁률이 비서울의 32.4배에 달하는 등 청약시장 양극화도 심해졌다.

 

국토교통부가 16일 공개한 ‘2024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자가 가구의 연 소득(5760만원 기준) 대비 주택가격(8억원 기준) 비율(PIR)은 13.9배로 조사됐다. 이는 2023년(13배)보다 늘어난 것이다.

14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에 아파트 단지가 보이고 있다. 뉴스1

PIR는 주택가격의 중간값을 가구 연 소득 중간값으로 나눈 수치로, 월급을 모두 모았을 때 집을 마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뜻한다. 서울 다음으로 PIR가 높은 지역은 세종(8.2배), 경기(6.9배), 대구(6.7배), 인천(6.6배) 등 순이다.

 

수도권 PIR는 8.7배로 전년(8.5배)보다 증가했다. 광역시는 6.3배로 1년 전과 동일했다. 도 지역도 3.7배에서 4.0배로 늘어났다.

 

가구주로 독립한 후 생애 첫 집을 장만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7.9년으로 전년(7.7년) 대비 2개월 늘었다.

 

자가 보유율은 지난해 61.4%로 전년(60.7%) 대비 상승했다. 지역별 자가 보유율은 전년 대비 도(68.6%→69.4%), 광역시(62.3%→63.5%), 수도권(55.1%→55.6%)에서 모두 상승했다.

 

자신이 소유한 집에서 거주하는 자가 점유율 역시 전국 58.5%로 전년(57.4%)보다 늘었다. 자가 점유율 역시 전년 대비 도(65.4%→66.5%), 광역시(58.9%→60.0%), 수도권(51.9%→52.7%)에서 모두 올랐다. 지난해 주택 점유 형태의 비중은 자가가 58.4%, 임차가 38.0%로 나타났다.

청년·신혼부부의 주거 여건은 악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가구주 연령 19∼34세) 가구의 자가 점유율은 지난해 12.2%로, 전년(14.6%)보다 낮아졌다. 임차로 거주하는 비율은 81.1%에서 82.6%로 높아졌다. 신혼(결혼한 지 7년 이하) 가구의 자가 점유율도 1년 새 46.4%에서 43.9%로 낮아졌다.

 

정부가 정한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가구 비율도 청년은 6.1%에서 8.2%로, 신혼은 1.8%에서 2.5%로 늘었다. 임대료 및 대출금 상환 부담 정도 역시 신혼 80.5%, 청년 76.5%로 일반 가구(63.3%)보다 높았다.

 

국토부는 국민의 주거환경과 가구 특성 등에 대한 기초 자료 수집을 위해 매년 주거실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6만1000가구를 대상으로 대면 면접방식으로 이뤄졌다.

 

한편 서울과 비(非)서울의 아파트 청약 경쟁률 격차는 올해 역대 최대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10월 서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은 평균 136.0대 1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서울이 아닌 지역(비서울)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4.2대 1이었다. 서울의 청약 경쟁률이 비서울의 32.4배로, 리얼투데이가 청약 통계를 집계한 2010년 이래 가장 큰 격차다.

 

서울과 비서울 간 청약 경쟁률 격차는 2019년까지 3배를 밑돌았다. 이후 2020년 3.7배, 2021년 9.4배, 2022년 1.3배, 2023년 7.1배에 이어 지난해 13.9배로 벌어졌고, 올해(32.4배) 격차가 더욱 커졌다.

 

리얼투데이는 “청약시장의 양극화는 이제 ‘수도권 대 지방’보다 ‘서울 대 비서울’로 재편되는 모습”이라며 “서울은 규제지역으로 지정돼 자금 조달 측면에서 제약이 따르지만, 여전히 공급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추가 수요가 유입될 여지는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오피니언

포토

‘오늘 결혼’ 김옥빈
  • ‘오늘 결혼’ 김옥빈
  • 정은채 가을 분위기 물씬…단발도 예쁘네
  • 문가영 완벽 미모 과시…시크한 표정
  • 엔믹스 설윤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