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관습 털어낸 빛의 혁명… 151년의 흐름을 느끼다

입력 : 2025-11-16 22:00:00 수정 : 2025-11-16 21:05:28
권이선 기자 2su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인상주의 명작 전시, 2025년도 풍성

국중박 ‘… 빛을 수집한 사람들’
뉴욕 ‘메트’ 소장 걸작 81점 국내 첫선
佛 산업혁명기 인상주의 역할 되짚어

예술의 전당 ‘오랑주리-오르세展’
‘거장’ 세잔·르누아르 예술세계 비교
2명의 독창적 화풍, 피카소에도 영향

19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이름 난 화가’가 되려면 국가가 주관하는 살롱의 심사를 통과해야 했다. 고전적인 구도와 무겁게 누른 색채, 그리고 영웅과 신화, 역사같이 변하지 않는 주제가 이 세계의 규칙이었다. 그렇지 않은 작품은 심사 단계에서 잘려나가기 일쑤였다.

1874년 4월15일 파리 카퓌신 거리에서 열렸던 첫 인상주의 전시가 조롱과 멸시의 대상이 된 것도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클로드 모네, 오귀스트 르누아르, 폴 세잔, 카미유 피사로의 같은 이름들이 전혀 특별하지 않았던 때였다. 살롱에서 번번이 낙방하던 젊은 화가 31명은 규칙과 관습을 내다 버리고 빛과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생동하는 순간들을 포착해 캔버스 위로 옮겼다. 호기심에 전시장을 찾았던 관람객과 평론가들은 “캔버스와 물감, 붓을 집어 들고 아무렇게나 몇 가지 색을 던져 놓는다”고 비웃었다. 어떤 이는 모네를 향해 “벽지 무늬 밑그림보다 수준이 낮다”고 했고, 누군가는 르누아르의 인물화를 “보라와 초록 얼룩으로 썩어가는 시체”에 비유했다.

폴 세잔, ‘세잔 부인의 초상’

그러나 웃음거리였던 이 전시는 세계 미술사의 흐름을 바꾼 분기점이 됐다. 낡은 주제를 벗어나 바깥에 나가 시시각각 변하는 빛과 삶의 역동성을 포착한 이들의 실험은, ‘인상주의’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사랑받는 사조로 자리 잡았다.

지난해 150주년에 이어 올해도 아카데미즘에서 인상주의가 태동하고, 다시 모더니즘으로 이어지는 서양 미술사를 조망한 전시들이 국내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르누아르의 ‘피아노를 치는 두 소녀’ 유화 완성본 4점 중 2점이 우리나라에서 전시되고 있을 정도다. 1891년 프랑스 정부가 르누아르에게 의뢰해 탄생한 이 작품은 한때 주변부였던 인상주의가 정통 미술의 주류로 편입되기 시작했음을 알린 상징적 사건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바꾼 인상주의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메트)을 대표하는 인상주의 걸작들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개됐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14일 개막한 특별전 ‘인상주의에서 초기 모더니즘까지, 빛을 수집한 사람들’에서는 리먼 브러더스 투자은행을 경영했던 로버트 리먼(1891~1969)의 컬렉션 65점을 포함해 총 81점의 메트 소장품을 볼 수 있다. 맥스 홀라인 메트 관장은 개막 전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리먼 컬렉션의 작품들은 단일 대여조차 거의 이뤄진 적이 없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규모의 전시회를 기획하는 것은 매우 특별한 시도”라고 설명했다.

전시는 인상주의가 단순히 ‘아름다운 그림’에 그치지 않고, 19세기 후반 산업혁명을 겪은 프랑스의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꾼 운동이었다는 점을 환기시킨다.

폴 세잔, ‘목욕하는 사람들’

1부 ‘몸’은 인상주의 화가들이 신화와 역사 속 이상적인 인체에서 벗어나 일상에서 마주하는 현실적이고 인간적인 몸을 탐구한 변화를 다룬다. 세잔의 ‘목욕하는 사람들’ 등은 이상과 현실이 교차하는 자연 속에서 누드화가 표현의 실험장으로 확장된 과정을 보여준다. 2부 ‘지금의 얼굴, 초상과 개성’에서는 오랫동안 상류층의 권위를 드러내기 위한 전유물이었던 초상화 장르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의 개성을 표현해내는 인물화로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르누아르의 ‘피아노를 치는 두 소녀’와 피에르 오귀스트 코의 ‘봄’은 전통과 변화가 공존하던 예술의 흐름을 드러낸다.

3부와 4부에서는 철도의 발달과 산업혁명, 파리 재개발 이후 변화한 도시와 자연, 전원의 풍경과 생활상을 보여주며 공간을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예술적 탐구의 대상으로 바라본 작가들의 시선을 보여준다. 마지막 5부는 강과 바다 등 물 위에 비친 빛과 색의 변화를 관찰하고 실험을 통해 인상주의가 새로운 예술로 태동하는 과정을 조명한다. 전시는 내년 3월15일까지.

오귀스트 르누아르, ‘광대 옷을 입은 클로드 르누아르’

◆세잔, 르누아르… 두 거장의 예술 세계는

국립중앙박물관 전시가 예술의 전환기에 주목하며 당대 거장들의 작품을 다양하게 담았다면, 한국·프랑스 수교 140주년을 맞아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에서 열리고 있는 ‘오랑주리-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세잔, 르누아르’는 인상주의에서 출발해 각기 독창적인 화풍을 구축한 두 거장의 예술 세계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전시다.

이번 전시를 위해 프랑스 국립 오르세 미술관과 오랑주리 미술관이 협력해 엄선한 작품 50여점이 비행기 4대를 타고 서울에 왔다. 총 6개 섹션으로 구성된 전시는 첫 장면부터 두 사람의 대비되는 화풍을 정면으로 제시한다. 세잔의 인물화인 ‘세잔 부인의 초상’과 르누아르의 인물화 ‘광대 옷을 입은 클로드 르누아르’를 나란히 걸었다. 가족을 향한 작가의 시선이자, 서로 다른 예술 철학의 결정체다. 세잔은 감정을 절제한 정밀한 묘사로 존재의 구조를 해석했고, 르누아르는 빛과 질감에 온기를 담았다. 이처럼 전시는 두 작가의 풍경화와 인물화, 정물화 등을 비교하며 나아간다.

오귀스트 르누아르, ‘피아노를 치는 두 소녀’

이 전시에도 르누아르의 ‘피아노를 치는 두 소녀’ 한 점이 걸렸다. 르누아르의 손끝에서 피어난 빛의 떨림은 관람객의 시선과 함께 여전히 살아 움직인다.

전시의 마지막은 파블로 피카소로 이어진다. 세잔과 르누아르는 19세기 후반 미술사의 흐름을 이끌며 인상주의를 넘어 현대미술의 기반을 닦는 이정표 역할을 했다. 이들의 작품은 20세기를 대표하는 화가 피카소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세잔의 분석적 회화는 입체주의의 등장을 견인했고, 르누아르의 색채는 피카소의 고전주의 회귀에 영향을 줬다. 전시는 내년 1월25일까지.


오피니언

포토

‘오늘 결혼’ 김옥빈
  • ‘오늘 결혼’ 김옥빈
  • 정은채 가을 분위기 물씬…단발도 예쁘네
  • 문가영 완벽 미모 과시…시크한 표정
  • 엔믹스 설윤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