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핵잠? 원잠?… 핵추진잠수함 명칭 두고 오락가락한 정부, 결국 ‘핵잠’으로 정리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1-14 14:47:56 수정 : 2025-11-14 15:02:49
변세현 기자 3hyu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원자력을 동력으로 삼는 잠수함의 명칭을 두고 대통령실이 ‘원자력추진잠수함’(원잠) 대신 ‘핵추진잠수함’(핵잠)을 쓰기로 공식 입장을 정했다. ‘핵잠’과 ‘원잠’을 두고 정부기관 간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하며 혼선이 초래되자, 결국 대통령실에서 직접 용어 정리에 나선 것이다.

 

미 해군 LA급 핵추진잠수함 산 후안함이 수면 위로 항해하고 있다. 미 해군 제공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1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한 한미 무역 통상 협상 및 안보 협의 팩트시트 관련 브리핑에서 “최종적으로 정부가 쓰는 건 핵추진잠수함의 약자로 ‘핵잠’을 쓰기로 했다”고 말했다.

 

현재 한국이 미국의 승인을 받은 잠수함은 원자력을 동력으로 삼되 재래식 무기를 탑재한 핵추진잠수함(SSN)으로, 핵무기를 싣는 전략핵잠수함(SSBN)과 구분된다. 동력원은 원자력 에너지이지만 핵폭발 장치는 탑재되지 않아 핵확산금지조약(NPT) 위반 요소가 없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

 

애초 정부가 잠수함 도입을 공식화하며 사용한 용어도 ‘핵잠’이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경주에서 진행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핵추진잠수함에 연료를 우리가 공급받을 수 있도록 대통령께서 결단을 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같은 날 대통령실 관계자들도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브리핑하며 이 대통령이 썼던 ‘핵잠’ 용어를 그대로 사용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기자회견장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한미 관세·안보 협상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 최종 합의 발표 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지난 5일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정부 공식 용어를 원잠이라고 하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안 장관은 “핵잠이라고 하면 핵폭탄을 탑재했다고 연상할 수 있고, 국제사회에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라며 “평화적 이용에 포커스를 맞추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오해를 피하기 위해 ‘핵’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겠다는 설명이었다. 외교부 역시 지난달 31일 “우리가 개발·운용을 추진하려는 것은 재래식 무장 원자력핵추진잠수함”이라고 입장을 냈다. 해군도 그동안 ‘평화적 이용’에 방점을 두기 위해 원잠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다. 정부가 핵잠·원잠을 두고 명칭을 통일하지 않아 혼선을 자초했다는 비판을 받는 이유다.

 

대통령실의 공식 입장이 정해진 이 날도 ‘원잠’과 ‘핵잠’ 용어는 혼재돼 사용됐다. 위 실장은 잠수함이 한국과 미국 중 어느 곳에서 건조되는지를 묻는 말에 “우리 원잠을 미국에서 건조하는 방안은 거론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후 공식 명칭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재차 ‘핵잠’이라고 정정했다.


오피니언

포토

정은채 가을 분위기 물씬…단발도 예쁘네
  • 정은채 가을 분위기 물씬…단발도 예쁘네
  • 문가영 완벽 미모 과시…시크한 표정
  • 엔믹스 설윤 '완벽한 미모'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