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대구 도시철도 4호선 건설방식 갈등

입력 : 2025-11-03 06:00:00 수정 : 2025-11-02 16:39:07
대구=김덕용 기자 kimdy@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市 “철제차륜 소음·분진 문제없다”
주민·단체 “공론화 절차 마련” 반발

대구시가 도심 교각에 놓은 콘크리트 상판 위로 철제 바퀴 전동차가 달리는 방식으로 도시철도 4호선(엑스코선) 건설 방식을 확정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시는 ‘철제차륜 자동안내차량(AGT·사진)’ 방식이 환경 측면에서 문제가 없다고 발표했지만, 주민과 시민단체는 소음과 분진 피해는 물론 일조권까지 침해를 받는 등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2일 대구시에 따르면 시는 2030년 완공을 목표로 도시철도 4호선 건설사업을 진행 중이다. 총연장 12.56㎞ 구간(수성구민운동장~동대구역~경북대~엑스코~이시아폴리스)에 도시철도 역사(정거장) 12곳과 차량기지 1곳을 건설한다. 국비를 포함해 총 8821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한다.

시는 최근 1차 환경영향평가 결과, 소음은 일부 노선 500m 이내 시설 66곳 가운데 경대교 부근 요양병원 1곳이 기준치를 초과했다. 진동 영향은 조사 대상 지점 모두 기준치를 밑돌았다. 열차가 한 번 운행할 때 나오는 쇳가루 분진은 승용차 5~6대 발생량 수준에 불과했다. 도로 폭이 협소한 동구 아양로와 북구 대현로, 대학로 등 3개 구간은 교각과 상판 설치로 11개 가구가 일조권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했다. 환경영향평가 수행업체 관계자는 “상부구조 슬림화, 교각 간 거리 확대로 일조 영향 저감 방안을 마련하고, 경관사업도 병행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주민과 시민단체는 대구시가 시민 의견을 무시한 채 검증 절차도 없이 건설 방식을 밀어붙이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이원우 신암1동 주민자치위원장은 “동구 신암동은 도로 폭이 좁고 주택가가 밀집해 있어 AGT 방식으로 공사를 하면 주민 피해가 불 보듯 뻔하다”라고 토로했다.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은 “고가 구조물인 AGT 방식은 도시 미관을 훼손하고 일조권 침해, 상시 그늘 형성, 겨울철 결빙사고 위험 등 시민 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AGT 추진을 중단하고 시민이 납득할 공론화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미연 '너무 사랑스러워'
  • 아이들 미연 '너무 사랑스러워'
  • 조윤수 '사랑스러운 미소'
  • [포토] 윈터 '깜찍하게'
  • 정채연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