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상대로 23시간가량 밤샘 조사를 벌였다.
31일 특검팀은 전날 오전 10시부터 이날 오전 9시 13분까지 추 전 원내대표를 내란중요임무 종사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고 밝혔다.
실제 조사는 약 12시간 만인 오후 10시에 마쳤으나 조서 열람에 11시간이 소요되면서 조사 종료까지 이례적으로 긴 시간이 걸렸다.
추 전 원내대표는 이날 조사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계엄 당일 있었던 사실관계에 대해서 소상히 설명드렸다”며 “이제 정권은 정치탄압, 정치보복 중단하고 민생을 챙기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조서 열람이 오래 걸린 이유 등을 묻는 말엔 답하지 않았다.
추 전 원내대표는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요청을 받고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하는 방식으로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의도적으로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의총 장소 번복으로 다수의 국민의힘 의원은 당시 계엄 해제 의결에 참석하지 못했고, 국회의 해제 요구 결의안은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90명이 참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석 190명·찬성 190명으로 가결됐다.
특검팀은 전날 조사에서 추 전 원내대표를 상대로 계엄 선포 이후 비상 의원총회를 소집하면서 장소를 국회에서 당사로, 다시 국회에서 당사로 세 차례 변경한 이유를 집중 추궁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차를 이용해 자택에서 국회로 이동 중이던 추 전 원내대표는 홍철호 전 정무수석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게 차례로 전화를 걸어 통화했고, 이후 윤 전 대통령과도 통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해 추 전 원내대표 측은 계엄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고 윤 전 대통령과 표결 방해를 논의하지도 않았다는 입장이다. 만약 윤 전 대통령과 공모해 표결을 방해하려 했다면 계속 당사에서 머물지 왜 국회로 의총 장소를 바꾸고 국회로 이동했겠냐는 것이다. 그는 당초 의원들에게 국회로 모이라고 공지했으나 당시 당대표실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당사에서 열기로 해 엇박자가 생겼고, 여기에 국회 출입통제가 더해져 불가피했다는 입장이다.
특검팀은 지난달 추 전 원내대표의 자택과 사무실, 의원실 등을 압수수색한데 이어 여·야 의원 다수를 참고인으로 조사하며 당시 국회 내부 상황 등을 파악했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 조사 내용 등을 토대로 조만간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학폭 대입 탈락](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67.jpg
)
![[데스크의 눈] 트럼프와 신라금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8/12/128/20250812517754.jpg
)
![[오늘의 시선] 巨與 독주 멈춰 세운 대통령](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55.jpg
)
![[김상미의감성엽서] 시인이 개구리가 무섭다니](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4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