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에 한 번 치즈를 챙겨 먹는 습관이 치매 발병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연구진 조사 결과, 치즈를 먹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치매 위험이 최대 24% 낮았다.
28일(현지 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은 국제 학술지 뉴트리언츠(Nutrients)에 게재된 일본 연구진의 논문을 인용해 이 같은 사실을 보도했다.
이번 연구는 일본의 65세 이상 노인 약 8000명을 대상으로 3년간 진행됐다. 참가자 절반은 치즈를 전혀 먹지 않았고, 나머지 절반은 일주일에 최소 한 번 이상 치즈를 먹었다.
그 결과 치즈를 먹은 그룹은 치매 발병률이 치즈를 전혀 먹지 않은 그룹보다 무려 24% 낮았다. 구체적으로 보면 치즈를 섭취하지 않은 사람들의 치매 발병률은 4.45%, 치즈를 섭취한 사람들은 3.39%에 그쳤다.
연구진은 과일, 채소, 고기, 생선 섭취량 같은 다른 식습관도 함께 고려했다. 이런 요인을 모두 고려한 뒤에도 치즈 섭취는 치매 위험을 21%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우리의 연구 결과는 유제품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기존 증거와 일치한다”고 밝혔다.
참가자들이 가장 많이 먹은 치즈는 가공 치즈(82.7%)였고, 그다음이 흰곰팡이 치즈(7.8%)였다.
가공 치즈는 우유와 유화제 등으로 만든 치즈다. 흔히 먹는 햄버거나 샌드위치에 들어가는 ‘슬라이스 치즈’나 빵이나 크래커에 바르는 형태의 ‘스프레드 치즈’, 간식용 ‘스틱 치즈’ 등이 가공치즈에 해당한다. 최근엔 자연치즈의 풍미를 흉내 낸 ‘체다풍’, ‘모짜렐라풍’ 가공 치즈 등도 출시되고 있다.
흰곰팡이 치즈는 치즈 표면에 흰색 곰팡이(주로 Penicillium camemberti 또는 Penicillium candidum) 를 배양해 숙성시키는 치즈를 말한다. 프랑스의 브리 (Brie) 치즈나 까망베르 (Camembert)가 대표적이다. 브리는 겉이 하얗고 속은 크리미하며, 숙성 정도에 따라 부드럽거나 약간 진한 향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까망베르는 브리보다 크기가 작고 향이 더 강하며, 숙성되면 속이 흐를 정도로 부드러운 질감을 가졌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과학자들은 치즈의 영양 성분이 보호 효과를 낸다고 설명했다. 치즈는 완전식품으로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A·B12·K, 비타민 등 영양소가 풍부하다. 비타민K는 혈관 건강과 혈액 내 칼슘 균형 유지에 관여한다. 또 뼈 건강에 중요한 칼슘과 인을 함유하고 있어 뼈 형성 및 유지에도 도움을 준다.
연구진은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은 신경세포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이집트 대박물관 개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407.jpg
)
![[특파원리포트] 경주에서 나온 복원의 첫 장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411.jpg
)
![[박영준칼럼] 美 위기 징후와 동맹전략의 과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379.jpg
)
![[심호섭의전쟁이야기] 저격능선·삼각고지 전투서 홀로 빛난 국군](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392.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