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내 은행 계좌에 프린스그룹 자금 900억… 은행 차원서 동결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20 19:31:58 수정 : 2025-10-20 19:31:57
이종민 기자 jngm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인신매매와 감금 등 강력범죄 연루 혐의로 국제 제재를 받은 캄보디아 프린스그룹의 자금 900억원대가 국내 금융사 현지법인 계좌에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캄보디아 프놈펜에 프린스그룹 본사 건물에 위치한 프린스은행. 연합뉴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은행의 캄보디아 프린스그룹 거래 내역’에 따르면 국민은행·전북은행·우리은행·신한은행·IM뱅크 등 국내 금융사의 캄보디아 현지법인 5곳이 프린스그룹과 총 52건의 거래를 진행했다. 거래액은 1970억4500만원에 달했다.

 

거래 규모가 가장 컸던 곳은 전북은행으로, 프린스그룹은 전북은행에 47건의 정기예금을 예치했고 이 중 40건은 만기 해지됐다. 거래액은 총 1216억9600만원이었다. 현재도 900억원이 넘는 프린스그룹 자금이 국내 금융사 현지법인 4곳에 남아 있으며, 국민은행 566억5900만원, 전북은행 268억5000만원, 우리은행 70억2100만원, 신한은행 6억4500만원의 예금이 각각 존재한다.

 

해당 은행들은 이미 미국과 영국 등의 제재 발표에 따라 프린스 그룹 측의 자산을 동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당국도 프린스 그룹 등 범죄 관련자를 대상으로 금융·외환·출입국 제재를 검토하고 있지만 외교적 문제 등을 이유로 아직 실제 제재 조치를 하진 않았다.

 

범죄 연루 가능성이 있는 자금이 국내 금융사의 현지법인 계좌를 통해 순환하고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실태 파악 및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범죄 정황과 국내 피해 가능성을 인지하고도 국제 제재 이후에야 뒤늦게 대응에 나섰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강민국 의원은 “금융위는 캄보디아 범죄조직의 검은 자금 동결 가능 여부에 대해 캄보디아 정부와 협의해 실질적 처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정확한 실상 파악과 대책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관계 부처 협의를 신속히 마무리해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 지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프린스그룹은 부동산·금융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며 캄보디아 경제 전반에 큰 영향력을 행사해온 기업집단으로, 최근에는 인신매매·온라인 사기·불법 감금 등 범죄의 배후로 지목되고 있다. 미국과 영국 정부는 프린스그룹과 천즈 회장을 대상으로 공동 제재를 발동했으며, 한국 정부도 금융·외환·출입국 제재를 검토 중이다.


오피니언

포토

문가영 뚜렷 이목구비에 깜짝…시스루룩 완벽 소화
  • 문가영 뚜렷 이목구비에 깜짝…시스루룩 완벽 소화
  • 이안 '러블리 카리스마'
  • 하츠투하츠 에이나 '깜찍한 매력'
  • 정소민 완벽 이목구비…단발 찰떡 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