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형 응급 의료 대책도 제자리걸음
市 “높은 타 지역 환자 유입 비율 원인”
대구지역에서 발생한 중증 응급환자는 골든타임 내 응급의료기관(응급실)에 도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가 2023년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사망 사건 이후 ‘대구 책임형 응급의료대책’을 내놨지만 지난해에도 구급차 내 출산과 병원 전전 끝에 사망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실효성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이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심근경색·뇌졸중·중증외상 3대 급성기 중증 응급환자 14만4054명 중 50.6%(7만3147명)가 적정시간(골든타임) 내 응급실에 도착해 입원 치료를 받았다. 질환별 적정시간은 심근경색이 발병 후 2시간 이내, 출혈성·허혈성 뇌졸중은 발병 후 3시간 이내, 급성 중증외상은 발병 후 1시간 이내로 규정돼 있다.
지역별로는 지난해 기준 대구에서 중증 응급환자의 최종 치료기관 도착률은 42.6%로 전국 17개 시·도 중 네 번째로 낮았다. 올해 상반기(1∼6월) 기준으로도 대구는 강원(42.2%)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낮았다. 시는 이처럼 최종 치료기관 도착률이 낮은 요인으로 다른 지역 환자 유입과 외부 전원에 따른 시간 소요 등을 꼽았다. 시 관계자는 “대구에는 상급종합병원 5곳이 몰려 있어서 경북이나 경남 등 다른 지역에서 환자가 유입되는 비율이 전국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