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구속 후 특검 조사·재판 계속 안 나가
해병대원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 등을 수사하는 채해병 특별검사팀(특검 이명현)이 다음주에 의혹의 ‘정점’인 윤석열 전 대통령을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앞서 내란 특검팀(특검 조은석)에 출석해 조사를 받은 뒤 재구속되고, 구속기소 상태로 김건희 특검팀(특검 민중기)의 소환 통보에 수 차례 불응한 윤 전 대통령을 3대 특검 중 나머지 하나인 채해병 특검까지 겨누고 나선 것이다.
정민영 채해병 특검보는 10일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연 정례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 측에 다음주 중에 일정을 정해서 조사를 받으러 나오라는 출석요구서를 13일에 보내려고 한다”고 밝혔다. 정 특검보는 구체적인 소환 일정에 대해선 “아직 정하지 않았다”면서도 “보통 며칠 정도의 말미를 주는 게 일반적이라 주 후반 정도는 돼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윤 전 대통령은 2023년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당시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 조사에서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자로 이름을 올린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혐의자 명단에서 제외하도록 외압을 가한 혐의를 받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이 그해 7월31일 대통령실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격노했다는 ‘VIP 격노설’은 특검 수사로 어느 정도 사실임이 드러났다.
당시 윤 전 대통령은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과 임기훈 전 안보실 국방비서관이 배석한 자리에서 ‘02-800-7070’ 번호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질책했다고 한다. 이 전 장관은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한 이후 결재를 번복하고 사건 기록의 경찰 이첩을 보류하라고 해병대 수사단에 지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윤 전 대통령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수사를 받고 있던 이 전 장관을 주호주대사에 임명해 해외로 도피시키려 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앞서 이 전 장관에 대한 5차례 피의자 조사를 진행하며 혐의를 다져온 특검팀은 관련 의혹의 정점인 윤 전 대통령 조사를 출범 100여일 만에 본격화하게 됐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은 불출석할 것이 유력하다. 지난 7월 내란 특검에 의해 다시 구속된 윤 전 대통령은 건강상의 문제를 들며 내란·김건희 특검 조사와 재판 등에 대부분 응하지 않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 임 전 사단장 구명로비 의혹에 연루된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 중이다. 사건 기록을 회수하고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을 항명 혐의로 수사한 김동혁 전 국방부 검찰단장에 대한 피의자 조사도 진행하고 있다. 12일 오전에는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과정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 윤 전 대통령의 측근 이원모 전 대통령실 인사비서관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