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캄보디아서 한국 대학생 고문당해 숨져…왜 갑자기 납치·살해 속출하나

입력 : 2025-10-10 10:00:00 수정 : 2025-10-10 09:59:05
김수연 기자 sooya@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유족, 5000만원 금전 협박…신고하자 연락 두절
한국인 납치 급증…나경원 “국가 총력 대응해야”

캄보디아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떠난 한국인 대학생이 현지에서 고문을 당해 사망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캄보디아 등 동남아를 중심으로 한국인 납치·살해 사건이 잇따르자 외교당국은 여행 자제를 경고하고 나섰다.

최근 캄보디아 등에 한국인 범죄 피해 우려가 확산하면서 외교부가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했다. 지난달에도 40대 한국인 남성(오른쪽)이 캄보디아로 여행을 갔다 혼수상태에 빠졌다. MBC 보도화면 캡처

 

10일 경북경찰청과 외교부 등에 따르면 경북 예천군 출신의 대학생 A(22)씨는 지난 7월17일 가족들에게 “여름방학 기간 캄보디아에서 열리는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집을 나섰다. A씨가 캄보디아에 도착한 후 일주일이 지났을 무렵 그의 가족들은 “(A씨가) 이곳에서 사고를 쳐서 감금됐다. 5000만원을 보내주면 풀어주겠다”는 연락을 받았다고 한다. 당시 피해자의 휴대전화로 전화를 건 남성은 조선족 말투를 사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 가족은 이 사실을 캄보디아 대사관과 경찰에 신고했다. 그러나 가족들은 A씨가 어디에 감금돼 있는지 정확한 소재 등을 알 수 없었고, 협박범과의 연락은 나흘 만에 두절됐다.

 

결국 8월8일 피해자는 캄보디아 현지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A씨는 캄보디아 캄폿주의 보코산 범죄단지 인근에 감금돼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A씨의 사인은 고문과 극심한 통증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밝혀졌다.

 

A씨 시신은 2개월이 넘도록 한국으로 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신은 부검과 현지 화장 일정 등을 고려해 이달 중 국내로 들어올 예정이다. 유족은 “사망진단서에 고문으로 인한 심장마비라고 적혀 있는데 얼마나 고통스러웠을지 너무 괴로워 잠을 잘 수 없다”며 “죽어서도 집에 돌아오지 못하고 캄보디아 냉동고에 방치돼 있다. 사람을 두번 죽이는 것”이라고 뉴스1에 전했다.

 

경북경찰청은 현지 경찰과 공조해 A씨의 출입국 경위 등 정확한 사고 내용을 조사하고 있다.

 

한편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납치 신고 건수는 2022~2023년 연간 10~20건 수준에서 지난해 220건, 올해 8월까지 330건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상당수는 고수익을 미끼로 내건 해외 취업 사기에 속아 납치된 피해자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50대 한국인 남성을 납치한 중국인 4명과 캄보디아인 1명이 경찰에 붙잡혔다. 캄보디아 크메르타임스 캡처

 

지난달에도 캄보디아로 여행을 갔다 실종된 40대 한국인 남성이 혼수상태에 빠져 현지 병원에 입원해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해당 남성은 지난달 24일부터 5박6일 일정으로 캄보디아 프놈펜으로 여행을 떠났는데, 출국 사흘 뒤부터 갑자기 가족과 연락이 끊겼다. 국내 경찰은 외교부와 현지 치안당국과 공조해 실종 경위 등을 추적해왔다.

 

같은 달 50대 한국인 남성을 감금·고문한 혐의로 용의자 5명이 현지 경찰에 체포되기도 했다. 체포된 용의자들은 30~40대 중국인 4명과 30대 캄보디아 남성 1명(운전사) 등 총 5명이다.

 

한국인 범죄 피해 우려가 확산하면서 외교부는 지난달 캄보디아 프놈펜 등 일부 지역의 여행경보를 2단계(여행 자제)로 격상하고 시하누크빌·보코산·바벳 등에는 2.5단계에 해당하는 특별 여행 주의보를 발령했다. 주캄보디아대사관 경찰 인력 등도 증원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특별여행주의보가 발령된 지역을 방문할 예정인 국민은 방문을 취소·연기하는 것을 권고한다”며 “해당 지역에 체류 중인 국민은 안전 지역으로 이동해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치권에서는 국가 총력 대응체계를 가동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캄보디아뿐만 아니라 미얀마·태국 등에서도 중국계 범죄조직이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을 납치해 피싱 범죄에 강제로 동원하는 일이 급증하고 있다”며 “이것이 바로 우리 정부의 무능과 직무 유기가 낳은 국격 추락의 민낯이다. 사법체계 파괴에 몰두하니 사실상 법무부·경찰 등 수사기관들도 소극적이지 않겠나”라고 비난했다.

 

나 의원은 “지금이라도 국가 총력 대응체계를 가동하고 기존 수사 조직의 적극적 가동, 역할 확대가 시급하다”며 “외교부·경찰청·법무부·검찰·국정원 등 관련 기관이 합동으로 긴급 태스크포스를 즉각 구성하고, 즉시 우리 국민의 피해 실태를 파악해 피해자 전원의 안전한 귀국을 위한 전면적 외교 작전을 가동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피니언

포토

정소민 '상큼 발랄'
  • 정소민 '상큼 발랄'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