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빵물가지수 1년새 6.5 올라
편의점·대형마트 PB상품 매출 급증
베이글 가격이 3년 새 44%나 뛰고 판매량 1∼2위인 소금빵과 샌드위치도 30%대 상승률을 기록하는 등 이른바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 추세가 이어지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의점·대형마트 빵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9일 한국신용데이터(KCD)의 ‘베이커리 시장 트렌드 리포트’ 보고서에 따르면 제과점과 카페 등에서 올해 상반기 월평균 판매 비중이 가장 높은 빵은 소금빵(15.7%)이었다. 샌드위치(15.0%)가 2위였고, 식빵(7.2%), 크루아상(5.3%), 베이글(5.2%) 등이 뒤를 이었다. KCD가 올해 상반기 가장 많이 팔린 빵 10종류의 중위가격 추이를 분석한 결과 베이글 가격이 가장 많이 올랐다. 베이글은 지난 6월 말 기준 중위 가격이 4400∼4900원으로, 3년 전인 2022년 6월에 비해 44%나 뛰었다. 샌드위치(7500∼8300원·32%)와 소금빵(3300∼3700원·30%)도 30%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빵 종류별 월평균 중위가격은 빵 메뉴별로 사업장에서 책정한 판매 금액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가운데에 위치하는 가격을 뜻한다.

KCD에 따르면 소금빵은 2022년 하반기만 해도 2000∼2500원대를 책정한 매장이 많았으나, 이후 가격이 꾸준히 오르면서 현재는 3000∼3500원대가 대세로 자리 잡았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봐도 8월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6.5% 상승했다. 2022년 6월과 비교하면 19.4%나 뛰었는데, 베이글, 샌드위치, 소금빵 가격은 이 기간 평균 빵값보다 배 이상 많이 뛴 셈이다.
‘빵플레이션’이 심화하자 편의점과 대형마트에서 선보인 1000∼2000원대 자체 브랜드(PB) 빵을 집는 소비자가 늘었다.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빵값이 오를수록 PB빵 매출 비중이 높아져 최근 20%를 넘어섰다.

CU의 전체 빵 매출에서 PB빵 비중은 2023년 9.4%에서 올해 1∼9월 21.0%로 두 배 이상 뛰었고, GS25(21.1%→24.9%)와 세븐일레븐(15.0%→20.0%)도 PB빵 매출이 많아졌다. 편의점을 비롯해 이마트 등 대형마트들은 베이글부터 생크림빵, 바게트, 단팥빵, 소보로빵, 케이크 등 PB빵 종류와 판매점 확대에 나선 이유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소싱 능력을 집중해 빵 원·부재료 단가를 낮추고 냉동 생지와 케이크 시트 등을 활용해 PB빵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되 맛을 보장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