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국 매년 증가세…단속은 미흡
“입국부터 출국까지 관리 체계 구축해야”
최근 농어촌의 일손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단기간 입국한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무단이탈 인원이 늘고 있다.
9일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3년~2025년7월) 외국인 계절근로자 중 무단 이탈자는 1944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2023년 925명, 지난해 911명에 달했고 올해는 7월까지 108명이 이탈했다.

경북은 같은 기간 211명이 이탈한 것으로 나타나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았다. 전남이 922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전북이 279명으로 뒤를 이었다.
정부는 파종과 수확 등 농어업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E-8 비자를 통해 최대 8개월간 농어가에서 일할 수 있다. 이렇게 입국한 계절근로자는 2023년 4만647명에서 지난해 6만7778명, 올해 7월 기준 9만5700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외국인 계절 근로자의 국적은 필리핀과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인도네시아, 몽골 순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무단이탈은 대부분 농가 배정 직후나 출국 예정 시점에 발생한다”면서도 추적 관리에는 한계가 따른다고 설명했다. 실제 당국은 무단 이탈 신고 접수 시 지자체가 해당 외국인에게 ‘무단 이탈 신고접수 사실 및 출석 요구’를 문자(SMS)를 통지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이탈자 단속이 미흡한 실정이다.
정 의원은 “정부가 외국인 계절근로자 인원을 매년 확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작 관리와 감독은 부실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당국은 계절근로자를 확대하는 데에만 매진할 것이 아니라 농어가에서 성실히 일하고 본국으로 무사히 돌아갈 수 있도록 입국부터 출국까지 철저한 추적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