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산업재해 사망자 중 하청노동자 비율이 2022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찍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더불어민주당 김주영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2022∼2025년 2분기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중 하청노동자 사망자는 281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사망자(589명) 중 절반에 가까운 47.7%에 이르는 수치다.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는 사업주가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 조치 의무를 다하지 않아 노동부 조사대상이 되는 사망사고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2022년부터 집계·공포되고 있다.
연도별로 보면 2022년 하청노동자 사망자 비율이 44.1%, 2023년 43.5%였다가 지난해 47.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셈이다. 올 1∼2분기의 경우 전체 사망자(287명) 중 하청노동자 사망자가 127명으로 44.3%를 기록했다.
전체 사망 노동자 수가 2022년 644명, 2023년 598명, 지난해 589명, 올 1∼2분기 287명으로 감소세를 보이는 데 비해 하청노동자 사망 비율은 들쭉날쭉하는 모양새라 ‘위험의 외주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어 보인다.
하청노동자 사망 사고는 특히 건설업에서 빈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2024년 사망 하청노동자 952명 중 건설업이 62.5%(595명)로 가장 많았다. 건설업 사망자 중 하청노동자 비율을 따져봐도 2022년 53%, 2023년 57%, 지난해 59%로 증가세를 보였다.
김주영 의원은 “안전 비용과 위험을 그대로 하청에 전가하는 위험의 외주화가 되풀이되면서 하청노동자가 죽음으로 내몰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