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해양경찰 젊은층 인력 이탈 심화… 재직기간 5년 이하 퇴직자 급증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09 12:36:35 수정 : 2025-10-09 12:36:34
인천=강승훈 기자 shkang@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폐쇄적 조직문화’ 원인 지적

해양경찰에서 젊은 인력층의 이탈이 심화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엄격한 상명하복 체계, 수직적 의사결정 등 폐쇄적 조직문화가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9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실이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2024년 ‘재직기간 5년 이하 퇴직자’는 모두 426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서도 9월까지 57명이 업무를 그만뒀다.

 

연도별로 보면 2020년 37명, 2021년 42명, 2022년 86명, 2023년 97명에 이어 지난해 107명으로 매년 늘어났다. 2020년과 2024년 기간에 3배가까이 급증했다. 이 가운데 자발적 퇴직을 의미하는 의원면직의 경우 2020년 36명, 2021년 34명, 2022년 78명, 2023년 90명, 2024년 99명 등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올해도 9월 기준으로 44명이 발생했다.

 

재직기간 5년 이하 퇴직자의 평균 연령은 30대 초반(30.9∼34세)으로 파악됐다. 젊은 경찰관들이 조직 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임 의원실은 분석했다.

 

한국해양경찰학회보 게재 논문을 보면 조직문화 적응이 어려운 이유로는 ‘수직적 의사결정 및 상명하복 중심 운영’, ‘기성세대 중심 운영으로 세대 간 소통 부족’, ‘성과 중심이지만 공정하지 않은 평가·보상 체계’ 등이 꼽혔다.

 

임 의원은 “신규 인력의 지속적인 유출이 이어질 땐 조직 지속가능성마저 약화될 것”이라며 “해양경찰 조직 현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근무환경 등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정소민 '상큼 발랄'
  • 정소민 '상큼 발랄'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