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치권 장외투쟁의 역사는?…문재인·황교안 엇갈린 성적표 배경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05 19:13:09 수정 : 2025-10-05 23:57:30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민의힘은 추석 연휴 직전 장외투쟁과 원내투쟁을 병행하며 대여 공세에 나섰다. 지난달 21일에는 대구, 28일 서울에서 차례로 장외집회를 열고 이재명 대통령의 사법리스크 등을 부각시켰다. 원내에서는 지난달 25일부터 29일까지 4박5일간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를 통해 검찰청·방송통신위원회 폐지 등 정부·여당의 정책 드라이브의 반기를 들었다.

 

1일 세계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달 29일과 30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 9.9%) 결과, 전체 응답자의 28%가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갤럽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지난 8월부터 계속 20%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9월 28일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서울 시청역 인근 세종대로에서 열린 사법파괴 입법독재 국민 규탄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지율이 박스권에 묶여 있는 가운데 국회에서 거대 여당과의 의석 차이를 극복하기 어려운 상황인 만큼 장외투쟁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게 국민의힘의 자평이다. 장동혁 대표는 지난 2일 기자간담회에서 “장외투쟁을 통해 얻은 것은 여당과 정부가 무엇을 잘못하는지 국민에게 알리는 것”이라며 “정부와 여당 지지율이 하락했다면 장외투쟁으로 얻을 수 있는 소기의 목적은 얻었다고 보인다”고 평가했다. 

 

◆나라를 바꾼 장외투쟁의 역사

 

장외투쟁의 역사는 1956년 7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승만 정권이 지방선거 입후보자를 검거하는 등 후보 등록을 방해하자, 당시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연합이 국민주권옹호투쟁위원회를 조직해 단체 행동에 나섰다. 야권의 투쟁은 민중과 결합해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어졌다. 박정희 유신정권 때도 신민당의 반독재·반유신 투쟁이 나중에 대통령 직선제·민주화 요구와 함께 대중항쟁으로 번지며 5·18 민주화운동에 이은 1987년 6월 항쟁으로 결실을 맺었다. 

 

지난 2005년 12월 15일 당시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 등 의원들이 서울 신촌 현대백화점 앞에서 사학법 원천무효 및 국회의장 사퇴를 촉구하는 장외집회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008년 5월 29일 당시 통합민주당 손학규, 박상천 대표 등 지도부와 당직자들이 국회 본관 앞에서 쇠고기 장관고시 규탄대회를 열고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장관고시는 국민을 무시하고 국민을 탄압하는 것이라며 장관고시 방침을 즉각 중단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단식, 삭발까지 거침 없는 야당 대표

 

2000년대 들어서도 야당의 장외투쟁이 이어졌다. 2005년에는 당시 한나라당 대표였던 박근혜 전 대통령이 여당의 사립학교법 개정안 단독 처리에 반발해 장외투장에 나섰고, 2008년에는 당시 대통합민주신당 손학규 대표가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해 42일간 촛불집회에 참여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도 야당(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시절인 2014년 세월호 희생자 가족 동조 투쟁과 이듬해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투쟁 등 여러 차례 장외집회에 나섰다. 

 

야당 대표가 삭발이나 단식 등으로 투쟁 의지를 불태웠던 사례도 있다. 2018년 당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와 이정미 진보당 대표는 연동형 비례대표 도입을 촉구하며 국회 로텐더홀에서 단식 투쟁을 벌였다. 2019년 당시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는 ‘조국 사태’에 항의하며 삭발과 무기한 농성, 단식 등을 총동원하기도 했다.

 

지난 2015년 11월 4일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국회 당 대표실에서 '역사국정교과서 저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제목의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019년 9월 16일 당시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조국 법무부 장관 파면 촉구' 삭발식 후 농성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 공감대 관건

 

장외투쟁이 무조건 성공한 것은 아니다. 장외투쟁이 국민 공감대를 얻지 못하면, 마땅한 출구전략을 찾지 못해 장기 농성 수순에 접어들기도 했다. 

 

2019년 자유한국당은 장외투쟁을 통해 보수 결집을 이끌어내긴 했지만, 이른바 ‘태극기 세력’으로 불리는 극우층과 결합이 외연 확장의 걸림돌로 작용하며 이듬해 4월 총선 참패로 이어졌다.

 

반면 문 전 대통령은 2016년 ‘국정농단’ 사건이 불거진 이후 광장으로 나갔고, 전국적인 촛불집회로 번졌다. 당시 야당이 헌정 사상 첫 대통령 파면과 함께 정권교체를 이끌어 낸 것은 여당인 새누리당의 내분과 국민의 전폭적인 지지 덕분이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