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전산시스템이 멈춰 선 지 9일째인 4일 복구율이 20% 가까이 올라섰다.

분진 제거 등 작업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복구가 다소 더뎌졌지만 정부는 추석 연휴 인력을 총동원해 속도를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전날(3일) 오후 10시 기준 대전 본원에서 피해가 난 647개 시스템 중 128개가 복구됐다. 전날보다 13개 시스템이 복구돼 전체 복구율은 19.8%다.
전날 추가로 복구된 시스템은 △보건복지부 대표 홈페이지 △국립재활원 △국립정신건강센터 △기초연금 △행정안전부 클라우드 공통기반 시스템 등이다.
당초 기대했던 것보다 복구가 더뎌지는 원인으로는 화재로 발생한 분진이 지목된다. 7-1 전산실 시스템이 불에 타면서 다량의 분진이 발생했고, 시스템 복구 전 먼지를 제거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또 화재 영향이 적은 1~6 전산실 시스템의 경우에도 화재가 발생한 5층 7~8 전산실 시스템과 연계돼 운영된 것이 많아 전반적으로 복구 속도가 늦춰졌다고 행안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앞서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전날 7일간의 연휴를 '골든타임'으로 규정하며 "비상한 각오로 복구 속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공무원 약 220명 △관련 사업자 상주 인원 약 570명 △기술지원 및 분진 제거 전문인력 약 30명 등 총 800여 명의 인원을 투입하겠다고 했다.
지난 2일보다 인력이 약 160명 늘었다. 정부 데이터 서비스 이용이 평시보다 적은 연휴 기간을 활용해 최대한 속도를 내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행안부는 복구가 다소 늦어지는 것에 대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시스템은 복구됐으며, 복구 개수가 전체 진척도를 완전히 반영하지는 못한다고 설명했다. 시스템마다 규모가 달라, 일부는 복구에 더 긴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중요한 시스템은 초기에 많이 복구됐다. 중요도 기준으로 보면 진도가 많이 나간 것"이라며 "작은 시스템도 1개로 계산하다 보니 전체 숫자가 조금 적은 것처럼 보인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