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 판매 감소 두고 정책효과 논란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투입한 ‘소비쿠폰 정책’이 반짝 효과에 그쳤다는 논란이 커지고 있다.
추경으로 조성된 소비 진작책이 7월에는 가전·통신기기 등 특정 품목의 판매를 끌어올렸다.

한 달 만에 소매판매 감소로 이어지면서 정책 효과를 둘러싼 갑론을박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7월 ‘급등’ vs 8월 ‘급락’…반짝 효과 갑론을박 이어져
4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2.4% 줄었다.
7월에 27개월 만의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던 소매판매가 한 달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이다. 감소폭은 지난해 2월(-3.5%) 이후 18개월 만에 가장 컸다.
쿠폰 사용률은 높았다. 신용·체크카드 기준 소비쿠폰은 지급 한 달 만에 78%가 소진됐다. 하지만 그 효과가 소매 지표로 이어지진 못했다는 평가가 뒤따른다.
◆기저 효과 vs 정책 한계…누구 말이 맞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해석이 엇갈린다.
일부는 “쿠폰 정책은 일시적 소비를 당기는 효과에 그친다”며 구조적 한계를 지적한다.
반면 다른 쪽은 “8월의 감소는 7월의 비정상적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라며 정책효과의 소멸로 단정짓긴 어렵다고 본다.
실제로 7월에는 으뜸효율 가전 환급과 ‘갤럭시’ 신제품 출시가 겹쳐 판매가 비정상적으로 뛰었다.
8월 들어 가전제품과 통신기기 판매는 각각 13.8%, 13.6% 줄었다.
음식료품 판매 역시 농축수산물 가격 급등 탓에 감소했지만, 외식업은 두 달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소비 쿠폰 효과가 업종 간 이동했음을 보여줬다.
◆정부 “늦은 추석 효과…소비 여력 여전” 반박
정부는 쿠폰 효과를 단기간 수치로 판단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정부 관계자는 “소비쿠폰 발급 전부터 선(先) 소비가 이뤄지며 7월 지표가 과대 반영됐다”며 “올해 추석이 10월 둘째 주로 늦어 8월 소비가 묻힌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7~9월 3개월 연속 110을 웃돌았다. 정부는 개인카드 매출 증가세를 근거로 “9월 이후 다시 소비가 살아날 것”이라고 전망한다.
◆전문가들 “단발성 대신 지속가능 구조 필요”…해법은?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쿠폰 정책의 한계’를 지적한다.
한 전문가는 “쿠폰은 외부 자극일 뿐 소득 개선 없는 소비 회복은 장기화하기 어렵다”며 “특정 품목 쏠림이나 소비 앞당김 효과가 크다 보니 지속성을 담보하기 힘들다. 소비 활성화는 단기 부양책보단 중장기 전략과 맞물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쿠폰이 단기적으로는 소비 심리를 자극했으나, 내수 확대를 위해서는 물가 안정·가계소득 개선 같은 구조적 해법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8월 소매판매 감소는 단순히 정책 실패로만 단정하기엔 기저효과와 명절 시기 변수 등 복합 요인이 얽혀 있다.
반복적 ‘쿠폰 처방’의 한계 또한 분명히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향후 소비 정책이 △소득 기반 강화 △가격 안정 △업종 맞춤형 지원과 연계될 때 비로소 내수 회복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