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비자 5명 중 3명은 이번 추석 차례상을 차라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명절 의례 간소화와 핵가족화, 가치관 전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에서 20대 이상 과일 소비자 패널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5일 온라인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올해 추석에 차례상을 차린다’는 응답자는 40.4%로 집계됐다. 2016년 조사에서 그 비중이 74.4%에 달했던 것에 비하면 34.0%포인트 줄어든 것이다.

연구원은 이 같은 변화가 명절 의례 간소화, 핵가족화, 가치관 전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차례상을 차리지 않는다는 응답자가 급증한 것과 함께 차례상을 차리더라도 상차림을 간소화하는 소비자들도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추석 차례 음식 준비 방식은 ‘전통 예법에 맞춰 간소화한다’는 응답이 58.4%로 가장 많았으며, ‘전통 예법에 따른 준비’(21.0%), ‘가족이 좋아하는 음식 위주로 준비’(14.9%), ‘조상이 좋아하던 음식 위주로 준비’(5.2%) 순이었다.
2016년 조사와 비교하면 ‘전통 예법에 따른 준비’ 응답 비중은 47.6%에서 21.0%로, ‘조상 선호 음식 위주’ 답변은 10.3%에서 5.2%로 각각 절반가량 낮아졌다. 그러나 ‘전통 예법에 맞춰 간소화’한다는 답변 비중은 29.8%에서 58.4%로, ‘가족 선호 음식 위주’는 12.4%에서 14.9%로 각각 높아졌다. 추석 차례상에 올릴 국산 과일의 선호도는 배(28.9%), 사과(28.6%), 단감(17.4%), 포도(13.2%) 순이었다.
추석 차례상에 수입 과일을 올린다는 응답은 34.9%로 7년 전보다 11%포인트가량늘어났다. 차례상에 올릴 수입 과일은 바나나(49.5%), 오렌지(22.0%), 키위(9.8%), 파인애플(7.9%) 순으로 나타났다.
추석 연휴 계획은 ‘본가·친인척 집 방문’이 54.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집에서 휴식 및 여가생활’(34.9%), ‘국내여행’(5.5%), ‘해외여행’(2.7%) 순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