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부터 추석을 포함한 7일간의 황금연휴가 시작됐지만,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멈춰선 정보시스템 복구는 여전히 더딘 상태다. 복구율은 10%대에 머물러 당초 정부가 제시한 ‘행정시스템 정상화 4주’ 목표도 불투명하다.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화재로 정보시스템이 멈춘 국정자원에는 약800여명의 전문인력과 공무원이 투입돼 있다.

정부는 화재 이후 연락과 예산 투입을 꾸준히 늘려왔다. 1일에는 김민재 행안부 차관(중대본 1차장)과 하정우 대통령실 AI(인공지능) 미래기획수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이 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방안을 논의했다. 이후 ETRI 인력 4명을 즉시 현장에 파견했다.
삼성SDS, LG CNS 등 민간 전문가에도 지원을 요청해 협조를 받고 있다. 화재로 녹아내린 전원장치 수리 기간을 1개월에서 10일 내로 단축하기 위해서다. 행안부 본부 인력과 5급 승진자 교육인력 등 20여명도 현장에 투입됐다.
정부는 화재 피해가 컸던 7-1 전산실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하기 위해 대통령실, 재정 당국과 예비비 확보 논의에도 나섰다. 대전 본원은 2층부터 5층까지 총 9개 전산실로 구성돼 있다. 불이 난 5층에는 7, 7-1, 8 전산실이 있다. 이 중 7전산실에 200개, 화재가 발생한 7-1전산실에 96개, 8전산실에 34개 등 전체 시스템의 절반이 넘는 330개(51%)가 집중돼 있다.
그러나 복구율은 여전히 저조하다. 이날 6시 기준 화재로 가동이 중단된 정보시스템 647개 가운데 115개만 복구돼 17.8%에 그쳤다. 전날(112개)보다 3개 정도 추가된 상태다.

복구 속도는 시간이 갈수록 더디다. 완전 진화 후 복구가 시작된 지난달 28일 39개 시스템이 재가동에 들어갔고, 29일에는 81개로 늘어 하루 40개 이상이 재가동됐다. 그러나 지난달 30일 95개(14개 증가), 1일 105개(10개 증가), 2일 112개(7개 증가)로 증가 폭이 계속 줄었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대본 회의에서 “정부는 연휴 동안 행정서비스와 안전관리에 공백이 없도록 철저히 대응하겠다”며 “정부는 이번 7일간의 연휴를 정보시스템 복구의 골든타임으로 삼아 비상한 각오로 복구 속도를 높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전산망 장애 정상화까지 시간이 걸릴 전망”이라며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주요 시스템을 선별해 이들에 대한 관리체계를 별도로 마련하려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