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장 10일간의 추석 연휴를 앞두고 응급실 과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이하 응급의사회)는 2일 발표한 대국민 호소문에서 “이번 연휴도 큰 혼란과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응급의료 인력은 평상시 기준으로 최소한만 배치돼 있어, 연휴처럼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 대응이 어렵다. 결국 피해는 중증 응급환자에게 돌아간다”고 밝혔다.
응급의사회는 응급실이 평상시보다 더 많은 환자를 수용해야 하지만, 상급병원 전원이 원활하지 않아 ‘응급실 뺑뺑이’가 속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응급의사회는 응급실 과밀화의 주된 원인으로 경증 환자의 상급병원 응급실 이용을 꼽았다. 이로 인해 치료 시기를 놓쳐 생명을 위협받는 환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응급의사회는 열상·염좌·단순 발열·설사 등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 증상은 지역 1차 의료기관을 활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응급실은 응급 치료를 제공하는 곳일 뿐 최종치료 기관이 아니며, 경증환자가 몰리면 정작 중증환자의 진료 대응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또 만성질환자의 경우 약이 떨어지지 않도록 미리 처방을 받아 두고, 과식과 과음을 자제해 위장관 증상이나 기존 질환 악화를 예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응급의사회 “국민들의 양보와 인내가 최소한의 안전망”이라며 성숙한 시민의식을 호소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