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경찰, 국정자원·작업수주 업체 등 4곳 압수수색…배터리 로그기록 확보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02 14:18:22 수정 : 2025-10-02 17:28:00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원인을 조사하는 경찰이 2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과 배터리 이설 작업을 한 대전지역 업체 3곳 등 4곳을 압수수색했다. 

 

대전경찰청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50분까지 7시간에 걸쳐 국정자원과 작업 수주 업체인 일성계전, 감리업체 등 4곳을 대상으로 강제 수사에 들어갔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원인을 수사 중인 경찰이 2일 오전 9시부터 대전 국정자원과 이번 화재와 관련된 대전지역 3개 업체 등 4개소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간 가운데 무정전 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이관 작업을 맡은 일성계전에서 압수수색을 마친 수사관들이 압수물품을 들고 이동하고 있다. 뉴스1

경찰은 이날 국정자원에서 박스 약 9개 분량의 자료를 압수해 나왔고, 업체 등에서도 관련 자료와 PC컴퓨터 하드 등을 확보했다. 

 

김용일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장(형사과장)은 압수수색을 마치면서 “배터리 이설 관련 사업계획서와 배터리 로그기록 등 다수의 자료를 확보했다”며 “압수물 분석과 관계자 조사를 더 진행하면서 화재 원인과 사건 경위를 명확히 규명하겠다”고 말했다. 

 

경찰은 이날까지 국정자원과 업체 관계자 17명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경찰 관계자는 “압수물 분석 후 혐의점이 파악될 경우 피의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경찰은 앞서 국정자원과 관련 업체 등에 자료 제출을 요구했지만 임의제출하지 않아 압수수색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전날 국정자원 관계자 1명과 배터리 이전 공사현장 업체 관계자 2명, 작업 감리업체 관계자 1명 등 4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했다. 전날까지 네차례에 걸쳐 10회 넘게 진행한 현장 감식 결과와 참고인 조사 등을 토대로 경찰은 이들 4명이 화재 원인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경찰은 배터리 이전 작업이 절차대로 진행됐는지, 배터리 잔류 전류차단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등을 중점적으로 살피고 있다. 배터리 분리 작업 전 주전원이 차단된 것으로 보고 있으나, 다른 부속 전원들이 있었던 만큼 정확한 작업 시점이나 배터리 차단 여부, 방전 작업 미이행 등이 화재로 이어졌을 가능성을 두고 수사 중이다.  

 

정확한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해 경찰은 불이 처음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배터리 6개와 현장에서 발견된 공구 등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감식 의뢰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수사하는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이 2일 오전 국정자원 압수수색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현안 질의에선 배터리 분리 작업 과정에서 과실 가능성을 인정하는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의 답변이 나왔다.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이 ‘리튬배터리 분리·이설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리튬배터리 분리 시 충전율(SOC)을 30% 이하로 낮춰한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배터리 분리 시 충전율이) 80% 정도 됐었다고 한다”며 충전율이 기준 이상으로 높았다고 인정했다.  

 

박덕흠 의원은 “감리업체는 모든 시공 과정을 점검하는 ‘핵심 감시자’”라며 “문제는 정부가 현장 인력 규모를 계속 바꾸면서 혼란을 자초하고, 기본적인 감리업체의 현장 상주 여부조차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