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규제 강화 ‘약발’ 본격화
서울 아파트 전세계약 30.4% 급감
“별도 공급대책 없으면 불안 지속”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지난달 주요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세가 1조3000억원에 그치며 올해 들어 가장 적게 증가했다. 그러나 잇따른 대출 규제의 부작용으로 수도권 주택시장의 불균형이 심해지고 있어 시장에선 정부의 공급 대책이 시급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주담대 잔액은 608조9848억원으로 전월 대비 1조3135억원 늘며 지난해 10월(1조923억원) 이후 최소 증가폭을 나타냈다. 지난 8월 주담대가 3조7012억원 증가했던 것과 비교하면 한 달 새 증가폭이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가계대출 잔액은 764조949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1조1964억원 늘며 지난 1월(-4762억원) 이후 8개월 만에 최소 증가폭을 나타냈다. 전세대출은 전월 대비 344억원, 신용대출도 2711억원 감소했다.
이는 6·27 가계대출 규제, 9·7 부동산 대책 등 대출 규제의 효과가 시차를 두고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전세를 낀 ‘갭 투자’ 매매가 위축되면서 전세 시장의 공급 부족으로 ‘전세 절벽’이 현실화하고 있다.
이날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 7?8월 서울 아파트 신규 전세 계약은 1만2108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계약 건수(1만7396건) 대비 30.4% 급감했다. 주택담보대출 시 6개월 내 전입 의무가 신설되는 등 규제 여파로 분석된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전세수급지수는 전월 대비 2.2포인트 오른 154.2로, 2021년 10월(162.2)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 지수가 100을 넘는 건 공급보다 수요가 많음을 의미한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6·27 대책이 갭 투자를 위축시킨 효과가 전세 시장의 공급 부족과 신규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 증가라는 부작용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전세 시장 안정을 위한 별도의 공급 대책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시장 불안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