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한 기업 무분별 대출 막아야”
IBK기업은행이 지난 5년 반 동안 기술금융대출과 관련해 부실처리한 금액이 6조5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신용평가를 적극적으로 하면서 기술금융대출 잔액이 늘고 있지만, 부실처리 금액도 같이 늘어나는 만큼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양수 의원이 기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기업은행의 기술금융대출 잔액은 지난 6월 말 124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약 10조원 늘었다. 은행권 기술금융대출 점유율은 38%에서 40.6%로 올라가며 1위를 유지했다. 기술금융대출은 담보력이 부족하지만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2014년부터 금융당국과 전 은행권이 공동으로 추진해 온 정책금융 프로그램이다. 기업은행이 기술신용평가 담당 6개 기술신용평가기관(나이스디앤비·NICE평가정보·서울평가정보·이크레더블·한국기술신용평가·한국평가데이터)에 의뢰한 평가 수수료만 2023년 기준 139억9500만원에 달한다.
하지만 기업은행의 기술금융 대출과 함께 부실처리액도 덩달아 증가했다.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기업은행의 기술금융대출 부실처리액은 총 6조5579억원으로 집계됐다. 부실처리액은 2020년 7319억원에서 매년 늘어 지난해엔 1조8360억원으로 약 2.5배 증가했다. 올해 7월 말 기준 이미 9338억원을 기록했다.
이 의원은 “지난해 기술신용평가 제도를 개선했음에도 부실한 기업에도 무분별한 대출이 이뤄져 부실처리되는 금액이 매년 늘고 있다”며 “부실처리 금액을 줄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