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비용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1인당 식대 중간값’이 처음으로 6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축의금 5만원으로는 식대 비용이 부족하게 된 것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전국 14개 지역 결혼 서비스 업체 504곳을 대상으로 지난 8월 18~29일 결혼식장 및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패키지 비용을 조사한 결과, 평균 비용이 2160만원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30일 밝혔다. 두 달 전보다 4.1% 상승한 가격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이 3509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경상도(1181만원)의 세 배에 달했다. 수도권 평균은 2665만원으로 비수도권(1511만원)보다 1154만원 비쌌다. 수도권은 두 달 전보다 4.3% 올랐지만, 비수도권은 오히려 1.9% 줄었다.
결혼식장 비용 중간값은 1580만원으로 6월보다 1.3% 상승했다. 가장 비싼 지역은 서울 강남 3구(3150만원)였으며, 강남 외 서울 지역은 2060만원, 충청도 1680만원 등 순이었다. 가장 저렴한 지역은 부산(775만원)이었다.
1인당 식대 중간 가격은 6만원으로, 두 달 전보다 2000원(3.4%) 올랐다. 특히 서울 강남 3구는 8만8000원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었으며, 강남 외 서울 지역이 7만원, 경기·광주가 6만2000원으로 뒤를 이었다. 제주는 4만2000원으로 가장 낮았다.
대관료도 오름세를 보였다. 대관료 중간 가격은 350만원으로, 6월보다 50만원(16.7%) 상승했다. 이 역시 서울 강남3구가 750만원으로 가장 비쌌고, 강남 외 지역이 570만원, 경기도가 400만원 등 순이었다. 식재료와 장식·꽃 등 자재 단가 상승, 인건비 인상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스드메 패키지 비용은 비교적 변동이 적었다. 스튜디오는 132만원으로 가격 변동이 없었고, 드레스는 4만원(2.6%) 오른 155만원, 메이크업은 4만원(5.5%) 상승한 77만원이었다.
소비자원이 결혼 준비 대행업체 20곳의 계약서를 분석한 결과, 모든 업체에서 불공정 약관이 확인됐다. 19사(95%)는 ‘사진 파일 구입비’ ‘드레스 피팅비’ 등 필수 옵션을 기본 제공 서비스가 아닌 별도 항목으로 넣었고, 13사(65%)는 옵션 가격을 명확하게 안내하지 않고 ‘별도’로만 기재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공정거래위원회와 공유하고, 조사 대상 20사에 대해 약관 개선을 권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