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검색량 1위, 안동소주의 매력은 [명욱의 술 인문학]

입력 : 2025-10-04 14:00:00 수정 : 2025-10-05 14:38:4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난 1년간 전통 소주 가운데 검색량 1위를 기록한 술은 안동소주였다. 네이버 쇼핑인사이트 집계에 따르면 주요 소비층은 30~40대이며, 남성 비중이 70%로 압도적이었다. 안동소주는 어떤 술이며, 왜 소비자들은 안동소주에 특별한 인식을 가지고 있을까.

첫 번째 이유는 경북 안동의 역사적·문화적 유산에 있다. 고려시대 공민왕은 홍건적의 침입으로 안동까지 피란해 전열을 가다듬고 국난을 극복했다. 고려시대 말 안향은 송나라로부터 성리학을 전해와 조선 유교문화의 뿌리를 세웠고, 그 전통은 퇴계 이황과 서애 류성룡 같은 대학자를 배출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것들 덕분에 안동은 자연스럽게 한국 정신사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퇴계 이황을 기리는 안동 도산서원의 봄 모습. 천원 지폐 뒷면에도 그려져 있다. 국가유산포털 제공

임진왜란 시기에도 안동의 인물들은 전쟁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안동 출신 무신 권준은 이순신 장군 휘하에서 중위장으로 활약하며 조선 수군의 연승에 기여했다. 특히 유학자와 지방 사족들을 중심으로 모인 의병들은 지형을 활용한 매복과 기습 등으로 왜군을 견제하며 경북지역의 북부 방어에 큰 역할을 했다. 또한 류성룡은 중앙에서 국방을 총괄하며 의병활동을 지원했고, 지역에서는 김여물 등 인물들이 의병을 이끌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안동은 학문과 항전정신이 공존하는 고장으로 자리매김했고, 하회마을·도산서원·병산서원 같은 세계문화유산을 남겼다. 월영교 등 현대적 명소 역시 안동의 문화적 위상을 보여준다.

학문 전통이 깊은 만큼 전통주 관련 문헌도 집중적으로 전승되었다. 1500년대 김유의 ‘수운잡방’은 조선 양반가의 술 담그기 전통을 기록했고, 장계향이 집필한 ‘음식디미방’은 한국 최초의 여성 저술 한글 조리서로 51종의 술 제조법을 담았다. ‘온주법’과 ‘음식절조’ 역시 안동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온 귀중한 자료다. 이런 기록들은 단순한 조리법을 넘어 가문과 지역의 문화를 이어온 지적 유산이다.

 

명욱 주류문화칼럼니스트

오늘날에도 그 맥은 살아 있다. 현재 안동에는 9곳의 양조장이 안동소주를 빚고 있다. 예컨대 민속주 안동소주, 명인 안동소주, 안동소주일품, 안동 진맥소주, 명품안동소주, 양반안동소주, 회곡 안동소주 등이 대표적이다. 일부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찾아가는 양조장’으로 지정되어 체험과 교육의 장으로 발전했다. 최근에는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만찬주로 사용되며 국제적 주목을 받았다.

안동소주의 매력은 다양성에 있다. 어떤 제품은 구수한 쌀밥 향을, 어떤 제품은 밀맥주 같은 과실향을 풍긴다. 마시는 방식도 스트레이트(얼음 없이 술만 마시는 방법)뿐 아니라 온더록스(술에 얼음을 넣어 마시는 방법), 하이볼(탄산수 등을 섞어 마시는 방법) 등으로 다양하다. 결국 “어떤 안동소주가 가장 맛있냐”는 질문의 답은 각자의 입맛에 달려 있다.

확실한 것은 하나다. 안동은 단순히 찜닭의 도시가 아니다. 술과 역사, 문화가 어우러진 거대한 콘텐츠의 보고다. 그러한 곳에서 빚어지고 있는 안동소주는 그 모든 유산을 집약해 오늘날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상징적 전통주라 할 수 있다.

 

● 명욱 주류문화 칼럼니스트는…

 

주류 인문학 및 트렌드 연구가. 숙명여대 미식문화 최고위과정 주임교수를 거쳐 현재는 세종사이버대학교 바리스타&소믈리에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넷플릭스 백스피릿의 통합자문역할도 맡았으며, 저서로는 ‘젊은 베르테르의 술품’과 ‘말술남녀’가 있다. 최근에는 술을 통해 역사와 트렌드를 바라보는 ‘술기로운 세계사’를 출간했다


명욱 주류문화칼럼니스트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