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 정부가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이재명정부의 성장전략에 대해 긍정 평가하고 있다고 세계 각국에 나가 있는 재정경제금융관(재경관)들이 말했다. 재경관들은 이재명정부 들어 재정운용 기조가 확장적으로 전환된 것에 대해서 주요국 정부가 시의적절한 조치라고 평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재경관들은 다만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 세부 합의에 도달하지 못해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면서 한미 간 AI 협력이 협상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현지 의견도 전달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 영상회의를 통해 재경관들과 상견례를 갖고 세계 각국의 새 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평가, 한미 관세합의에 대한 반응 및 대미 대응 동향 등을 논의했다. 이번 재경관 회의는 구 부총리 취임 후 처음으로 마련됐다.
재경관들은 영상회의에서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에 대해 현지에서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AI 등 기술선도에 방점을 두고 잠재성장률 하락 흐름을 반전시키겠다는 정부 의지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고 알렸다. 다만, 투자 재원의 효율적 배분,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 대응 등이 주요 도전요인이 될 것이란 평가도 있다고 전달했다.
재경관들은 정부의 확장 재정에 대한 평가도 시의적절하다는 분위기라고 언급했다. 경제성장률 제고를 통해 국가채무 비율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재정건전성 우려 역시 크지 않은 것으로 주요국이 보고 있다고 전했다.
한미 관세협상에 대한 주요국 반응도 논의됐다. 재경관들은 한국이 일본과 유럽연합 대비 협상기간이 길지 않았음에도 동일한 관세율을 확보했다는 점, 한미가 호혜적인 마스가 프로젝트를 제시한 전략이 주효했다는 점에서 한미 관세협상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아직 세부합의에 도달하지 못해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이에 일부 재경관들은 한미 간 AI 협력이 양국 협상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현지에서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재경관들을 격려하면서 “대외 경제 불확실성이 높은 때일수록 경제외교의 최전선에 선 재경관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주재국 정부, 기업, 투자자와 긴밀하 소통하면서 한국 경제에 대한 신뢰를 굳건히 다지는데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