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정부의 첫 교육부 장관인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2일 취임했다. 중학교 교사 출신인 최 부총리는 “교권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첫 출근한 최 부총리 “부지런하게 일할 것”
최 부총리는 이날 대전국립현충원을 참배한 뒤 정부세종청사에 첫 출근했다. 교육부 로비에서 취재진과 만난 최 부총리는 “교육부 장관으로 임명돼 영광스럽기도 하지만 현안이 많이 산적해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최선을 다해서 교육이 나아갈 길을 국민들과 함께 만들어 가고 싶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가장 먼저 들여다볼 정책으로 교권 문제를 꼽았다. 그는 “교육은 미래 세대가 건강하고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게 돕는 일인데 가장 가까이에서 수행하는 선생님들이 많이 지쳐 있다”며 “선생님들이 가르치는 일, 아이들을 살리는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드는 일을 우선적으로 챙겨 아이들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하게 더불어 사는 세상을 꿈꾸면서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또 살펴야 할 과제들로 ‘고교 학점제’, ‘아이들의 마음 건강’, ‘서울대 10개 만들기’ 등을 거론하며 “새로 출범하는 국가교육위원회와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대학 총장 협의회와 교육감 협의회, 많은 현장의 목소리를 들으면서 부지런하게 일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음주운전 전력,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의 막말 등이 논란이 되며 우려 목소리가 컸다는 지적에 대해선 “인사청문회 과정 자체가 그동안 살아온 저 자신을 되돌아보는 아주 귀한 기회가 됐다”며 “많이 반성도 하고 많이 아프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도 우려하는 분들이 계실 건데 그분들의 우려를 잊지 않고 우려가 기대로 바뀔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서 일하는 것으로 마음을 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취임식에서도 ‘교권 회복’ 강조
최 부총리는 이후 직원들과 가진 취임식에서 “이 자리는 영광스러운 자리인 동시에 매우 무거운 책임의 자리”라며 “40년 넘게 학교 안팎에서 쌓아온 교육자로서의 경험과 국민주권 정부의 국정철학을 바탕으로 가르치는 게 즐겁고 배우는 게 행복한 교육을 만들기 위해 온 힘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취임식에서도 교권 보호를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교단을 떠나는 선생님들이 늘고 있는 것이 우리 교육의 안타까운 현실”이라며 “공교육 회복을 위해 선생님들을 지키고 보호하며 배려와 존중을 배우는 학교 만들기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또 지나친 경쟁이 여러 사회적 문제를 낳는다고 지적하며 “학교에서부터 공동체 정신을 회복시켜 학생들이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배우며 자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표적인 교육 공약인 거점국립대 육성을 통한 ‘서울대 10개 만들기’에 대해선 “국가 전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수도권에 교육자원이 집중되지 않도록 지역의 교육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지방대학에도 서울대 수준의 전략적 투자와 체계적 육성 전략을 마련해 수도권 중심의 교육 불균형을 해소하겠다”고 했다.
이 밖에 기초학력 지원 등 공교육에 대한 국가책임, 디지털 문해력과 인공지능(AI) 기초역량, 직업교육, 민주시민교육 등을 강화하고 과감한 재정 투입으로 교육의 질적 도약을 꾀하겠다고 강조했다.
현장 교사 출신 장관 취임에 교원단체들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최 부총리의 ‘친정’인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이날 “현장에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국민 앞에 책임지는 장관이 될 것을 기대한다”며 “전교조 수석부위원장, 세종시교육감 등의 경험을 토대로 이제는 교육부 장관으로서 교육의 근본을 바로 세우는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입장을 냈다.
보수 성향 교원단체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제기된 도덕성, 편향성 등에 대해 교육 현장의 깊은 우려가 상존하지만 임명이 이뤄진 만큼 이제는 대한민국 교육 발전을 잘 이끌어주길 바란다”며 “산적한 교육현안 해결을 위한 노력과 통합적 리더십의 의지를 행동으로 증명해달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