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도 이자 수입 의존 대신 혁신 투자해야”
이재명 대통령은 10일 국민성장펀드와 관련해 “과감하게 펀드 규모를 50% 더 늘려 150조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며 “우리 산업에 새롭게 활력을 불어넣고 국민·정부·경제계가 함께 대한민국의 미래를 만드는 데 초석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마포구의 창업지원센터인 프론트원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보고대회에서 “무역장벽 강화, 통상환경 불확실성 증대 등 어려운 시기에도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은 첨단 전략 산업에 대규모 국가 투자와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며 “지원 방식도 대대적으로 개편해 우리 경제를 선도할 핵심 산업과 프로젝트에 대규모로, 장기적으로 자금을 투자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금융 분야가 지금처럼 담보를 잡고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전당포식 영업’이 아니라 생산적 금융으로의 대대적인 전환이 필요하다”며 “손쉬운 이자 수입에 의존하거나 부동산 투자에 자금이 쏠리지 않도록 모험투자, 혁신투자에 집중할 환경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또 “벤처 생태계 자금 지원, 초창기 대규모 인프라 지원 등에 자원이 사용되도록 정책 방향을 바꿀 것”이라며 “모험성, 인내성만으로는 시장에서 혼자 살아남기 어렵다는 점을 저희가 잘 알기 때문에 재정이 마중물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후순위 투자 등을 하며 민간 자금을 끌어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벤처기업의 성장과 혁신적 기술이 우리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 동력이다. 그동안 다소 부족한 면이 있었지만, 잘 되는 기업은 더 잘 되게 하고 실패해도 재기를 할 수 있도록 벤처 생태계를 활성화해야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가 엄청난 위기에 직면한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새로운 기회”라며 “예를 들어 수능이 엄청나게 어려워 ‘불수능’ 얘기가 나오더라도 나한테만 어려운 것이 아니니 별로 걱정할 일이 아니다. 경쟁의 조건은 똑같고 누가 얼마나 준비했느냐로 결론이 나는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