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슨 권 CSO “한국과의 파트너십 매우 중요”
“한국의 다양한 기업이 AI 전환 주도” 평가도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개발사 미국 오픈AI는 10일 한국을 AI 주권 측면에서 좋은 조건을 갖춘 나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오픈AI의 제이슨 권 CSO(최고전략책임자)는 이날 오전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 스튜디오에서 열린 ‘오픈AI 코리아 공식 출범’ 기자회견에서 “한국은 우수한 AI 관련 기업이 많고 이를 통해 튼튼한 근간을 갖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한국과의 파트너십은 매우 중요하다”며 “많은 사람이 AI 발전과 관련된 혜택을 받을 것이고, 한국 정부와도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함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가 AI 주권에서 좋은 조건을 갖췄다는 제이슨 권 CSO의 평가는 정부의 독자적인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추진과 무관치 않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9일 서울 중구 르메르디앙 서울 명동에서 프로젝트 착수식을 열고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의 목표를 글로벌 최고 성능급으로 설정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그리고 LG AI연구원 등 국내의 AI 관련 기업이 참여한다.
종합 기술기업 델 테크놀로지스도 지난달 아시아태평양 6개국(한국·일본·싱가포르·호주·말레이시아·인도) 정부 주도 AI 전략과 AI 주권 도입 현황 조사 보고서에서 우리나라가 AI를 경제 성장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보며, 정부 기관도 AI 기술에 높은 전략 중요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었다.
오픈AI 코리아는 우리나라 산업·학계·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으로 AI 대전환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겠다는 비전을 내놨다. 올해 2월 카카오와 전략적 제휴로 연동을 준비 중이며, 서울대학교와의 업무협약 체결로 학계와의 연구 협력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달 12일 ‘파운더스 데이’ 행사로 스타트업, 개발자 등이 한데 모이는 자리를 마련하는 등 스타트업 생태계도 소홀히 하지 않으며, 오는 11월에는 개발자와 스타트업, AI 연구자들과 오픈AI의 최신 기술을 공유하는 ‘데브데이 익스체인지(DevDay Exchange)’를 국내에서 개최한다.
오픈AI는 인류에 도움이 되는 ‘범용 인공지능(AGI)’의 안전한 개발과 배포를 목표로 한다. 제이슨 권 CSO는 발표에서 ‘인류 전체에 안전하고 책임 있게, 포괄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보장한다(Is to ensure that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benefits all of humanity-safely, responsibly, and inclusively)’라는 비전으로 이를 강조했다.
아시아 세 번째 지사이자 세계에서 열두 번째 지사인 오픈AI 코리아를 출범한 오픈AI는 오랜 기간 기술 강국의 명성과 첨단 인프라, 세계적 수준의 혁신 주도 기업 그리고 기술 친화적인 소비자들의 조화를 토대로 한국을 차세대 글로벌 AI 허브로 선택했다. 2022년 챗GPT 출시 후 주간 활성 사용자 7억명 돌파 등 오픈AI는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뤘다. 국내에서도 주간 사용자가 1년 전보다 4배가량 늘었고, 특히 유료 구독자 규모는 같은 기간 3배 이상 증가해 아시아 지역에서 최대 규모를 이룬다.
제이슨 권 CSO는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 혁신적인 기업, 빠른 디지털 도입 속도를 갖춘 AI 혁신의 최적지”라며 “오픈AI가 첨단 기술과 다양한 협력을 통해 산업, 학계, 정부 전반에서 한국의 AI 전환을 위한 혁신을 함께 만들어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오픈AI는 건설·전자·통신·금융·여행·게임·이커머스·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기업이 ‘GPT-5’ 등 최첨단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AI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