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분 조정으로 美 IRA 대응 가능
LG화학 구미 양극재 공장 지분을 일본 토요타통상이 25% 매입해 2대 주주로 합류했다. LG화학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지분 구조 개편에 성공했다.
토요타통상은 일본 토요타그룹의 종합상사로 토요타 자동차의 원자재 조달 상당 부분을 담당한다. 9일 LG화학에 따르면 구미 양극재 공장 지분 구조는 이제 LG화학 51%, 토요타통상 25%, 중국 화유코발트가 24%로 변경됐다.
토요타통상은 구미 공장에서 생산되는 양극재를 북미 배터리 고객에게 공급할 예정이다.
LG화학 구미 공장은 이번 지분 구조조정으로 IRA에 대응할 수 있게 됐다. 미국은 중국계 기업이 지분을 25% 이상 가졌거나 실질적인 통제권을 행사하는 기업은 ‘제한 대상 외국기업(PFE)’으로 지정한다. 이 경우 IRA법상 제공하는 배터리 및 핵심광물 공급망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된다. 기존에 화유코발트가 구미 공장 지분을 49% 보유해 PFE 대상이었으나 이번 조정으로 이런 우려에서 벗어났다.
구미 공장은 연간 6만6000t 규모 양극재 생산능력을 갖췄다. 최근 전구체를 사용하지 않고 맞춤 설계된 메탈에서 바로 제품을 만드는 전구체 신공정 양극재(LGPF)를 적용하며 구미 공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제품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LG화학은 2026년 하반기 가동 예정인 미국 테네시주 공장, 국내 청주와 구미 공장, 중국 우시 등 안정적인 공급망을 기반으로 고객사를 확보 중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