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에서 시스템이 1시간 넘게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거래소 이용자 1600만명(중복) 시대에 거래소들의 시스템 오류가 잇따르면서 투자자들의 불만도 이어지고 있다.
3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전날 오후 11시30분쯤 빗썸에서 매수, 매도 주문이 지연되고 호가창이 멈추면서 약 1시간30분 동안 긴급 시스템 점검이 진행됐다. 이후 이날 오전 1시를 넘겨 점검이 완료됐다는 공지가 나왔다.

빗썸은 이번 사태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피해 전액을 보상해드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보상신청 접수기간은 10월2일까지다.
빗썸은 연초 ‘장애율 0%’를 선언했다가 돌연 철회해 논란이 일어난 바 있다. 빗썸은 지난 1월3일 “최근 3년간의 노력을 통해 2024년 서비스 거래 지연 장애를 3건으로 줄였다”며 ‘2025년 장애율 0% 선언’ 공지를 올렸다. 하지만 3일 만에 해당 게시물을 삭제했다.
가상자산 거래소의 시스템 오류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2020년 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국내 거래소에서 발생한 시스템 오류는 총 71건이었다. 빗썸이 42건으로 가장 많았고, 업비트 15건, 고팍스 11건, 코인원 2건, 코빗 1건 순이었다. 지난 6월에는 코빗에서 약 12시간 동안 거래가 ‘먹통’이 되는 사태가 발생했고, 1월에는 업비트에서 약 2시간 거래가 중단되기도 했다.
가상자산 업계의 한 관계자는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이용자의 접속이 급증하는 것이 시스템 오류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빗썸 등 주요 거래소는 접속자 급증으로 1시간가량 서비스가 지연됐다.
가상자산 거래소들의 전산 오류로 인한 피해가 잇따르면서 피해 보상 근거 마련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이 대표발의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 개정안은 거래소가 해킹·전산장애 등으로 경영상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경우 즉시 금융위원회에 보고하고, 이용자에게 사고일 기준 15일 이내 공시할 의무를 신설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