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내 연구팀, AI 기반 고엔트로피 나노 입자 구현… 방위·항공산업 응용

입력 : 2025-09-02 14:21:44 수정 : 2025-09-02 14:21:43
경산=배소영 기자 soso@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내 연구팀이 고엔트로피합금(HEA)을 나노입자 차원으로 구현하고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해 물성을 예측하는 새로운 연구 프레임을 제시했다. 영남대 신소재공학부 박노근 교수팀의 연구 성과다.

 

영남대는 이번 성과를 담은 논문 2편이 국제 권위 학술지 Coordination Chemistry Reviews(Impact Factor 24.6)와 Small(Impact Factor 13.3)에 동시에 게재됐다고 2일 밝혔다.

 

박노근(왼쪽) 교수와 와일 알조비 교수. 영남대 제공

박 교수는 국내 최초로 HEA 분야 국제저명학술지(SCIE) 논문을 발표한 후 10여년간 연구를 이어오며 100여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특히 다수의 성과를 JCR(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상위 10% 이내의 우수 학술지에 게재하는 등 세계적 연구력을 인정받아 왔다.

 

최근에는 방산 항공 우주 엔진 부품 소재인 초합금 분야로 연구를 확대해 나노 입자 정량 분석 체계와 AI 기반 데이터 연구 방법론을 구축했다. 이번 2편의 논문 역시 그 연장선에서 도출된 결실이다. 해당 연구 성과는 방위산업·항공우주·차세대 에너지 소재 등 국가 전략 산업 전반으로 확장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 교수는 “전통 철강과 자동차 부품 산업에서 쌓은 지식에 AI·기계학습 기술을 접목해 연구의 외연을 넓혔다”며 “이번 연구는 전통 금속산업의 경험을 첨단 신소재 산업으로 이어주는 징검다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
  • 박지현 '아름다운 미모'
  • 블랙핑크 제니 ‘수줍은 손인사’
  • 카리나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