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먹거리 물가 3.5%↑, 1년 만에 최고…서민 장바구니 부담 가중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8-11 13:43:53 수정 : 2025-08-11 13:46:38
세종=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난달 식료품을 포함한 먹거리 물가가 1년 만에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나면서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7월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125.75(2020년=100)으로 작년 동월 대비 3.5% 올랐다. 지난해 7월(3.6%) 이후 1년 만에 가장 높았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1%인 점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커지고 있는 셈이다.

 

11일 서울의 한 마트에 채소가 진열돼 있다. 뉴시스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5월까지 2.0~3.0%를 유지해오다 6월(3.4%)에 이어 최근 두 달 연속 3%대 중반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폭염·폭우 등 이상기온 현상이 지속되고, 가공식품 출고가도 줄줄이 인상된 점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식료품 중에서는 어류 및 수산(7.2%)의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두 달 연속 상승률이 7%대를 기록하며 2023년 7월(7.5%) 이후 2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오징어채(42.9%), 조기(13.4%), 고등어(12.6%) 등이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빵 및 곡물(6.6%)도 2023년 9월(6.9%) 이후 1년10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쌀(7.6%)은 2024년 3월(7.7%) 이후 1년4개월 만에 다시 7%대 상승률을 기록했고, 라면(6.5%)은 3개월 연속 6%대 상승률을 이어갔다. 과자·빙과류 및 당류(5.0%), 기타 식료품(4.7%), 우유·치즈 및 계란(3.6%) 등도 많이 올랐다.

 

비주류 음료에서는 커피·차 및 코코아(13.5%), 생수·청량음료·과일주스 및 채소주스(3.4%) 가격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농식품부는 쌀 수급 안정과 일부 산지 유통업체 애로 사항 해소를 위해 이달 말까지 정부양곡(벼)을 공급하기로 했다. 공급 물량은 양곡연도말에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는 재고 수준인 3만t이다. 공급 대상은 지난해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 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곡 기준 3000t 이상인 임도정업체다.


세종=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