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72평 물류센터에 26만권 보관
온도·습도 유지 ‘항온항습기’ 배치
CCTV에 소독기 등 방역장비 갖춰
이동식 서고比 하중 2배 이상 견뎌
직원 4~5명 불과… 인력 수급 난항
기록관 건립 부지·예산 확보 시급
23일 경기 고양 덕양구의 한 물류센터. 지난 2022년 세워진 해당 건물은 국내외 입양인들의 기록물을 보관하기 위한 임시서고로 탈바꿈했다. 지난 19일부터 입양 체계가 민간이 아닌 국가 책임으로 바뀌면서 입양기록물 관리의 책임자가 된 아동권리보장원이 입양기관과 보호시설이 보유한 기록물의 원본을 안전하게 이관∙보존하고, 입양정보공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임시서고를 마련한 것이다.
임시서고는 물류센터 4층에 마련됐다. 서가 면적만 약 670평이며 검수 작업공간과 사무실 등을 포함해 총 1472평 규모다. 보장원은 “국가기록원의 ‘기록관 및 특수기록관의 시설·환경 기준’에 부합하는 면적, 하중 조건 등을 충족한 건물을 신중하게 선정했다”며 “이 공간은 2022년 준공 후 임차된 이력이 없어 청결하고, 기록원 이동식 서고 기준의 약 2배 이상인 ㎡당 2300㎏의 하중을 견뎌 기록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취재진이 찾은 서고에는 기록물을 보관하기 위한 모빌랙(이동식 서가)이 길게 늘어서 있었다. 온도 22도, 습도 45% 등 기록물 보관 적정 기준을 유지하기 위한 항온항습기도 4대가 배치된 상태였다. 이와 함께 폐쇄회로(CC)TV를 비롯해 보안장비가 설치됐다. 입양기관 등에서 검수를 거친 기록물이 밀봉 상태로 차에 실어 이송되면, 작업실에서 재차 목록을 분류한 뒤 보존 정도에 따라 소독 등의 작업을 거친다.
보장원은 올해 8개 입양기관과 일부 아동양육시설이 보유한 약 26만권 이상의 기록물을 임시 서고로 이관하고 정리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최소 70여개 아동양육시설 등이 보유한 입양 관련 기록물을 추가로 이관하고, 2027년부터는 각 지자체와 기타 시설의 입양 관련 기록물을 단계적으로 이관할 예정이다. 임시서고는 총 60만권가량의 기록물을 보관할 수 있다. 보장원 관계자는 “전체 기록물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는 전수조사를 하고 있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임시서고 체계화 및 공식 기록관 건립까지는 과제가 산적하다. 당장 기록물 검수 작업에 투입된 보장원 직원도 4∼5명에 불과하다. 인력을 충원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소수의 인력으로 전반적인 작업을 감당하는 실정이다.
또 만일 임시서고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상태인데, 기록물이 젖을 경우 훼손될 우려가 크다. 이와 관련 보장원은 모빌랙과 보관함으로 기록물을 습기로부터 최대한 벗어날 수 있으며 가스식 소화기도 30여대 배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임시서고 계약 기간은 2030년까지다. 보장원은 2031년에는 입양기록관 건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쉽지 않다. 이미 2023년 기록관 부지를 찾기 위해 타당성 조사도 마친 바 있지만, 예산 확보에 실패해 원점으로 돌아왔다. 보장원은 내년 새로운 부지를 찾기 위해 타당성 조사를 새롭게 진행할 계획이다. 기록관 건립까지는 최소 4년이 필요한 만큼 타당성 조사나 예산 확보 등 절차에서 암초를 만날 경우 계획이 틀어질 우려가 있다.
정익중 원장은 “임시서고 운영을 시작으로 흩어져있는 입양기록물의 안전한 이관과 관리, 입양정보공개 서비스를 충실히 추진해 나가겠다”며 “임시서고에 머물러 있지 않고 장기적으로 영구적인 기록관 건립을 추진하기 위해 부처 및 기관들과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